평화의 소녀상에 침을 뱉고 조롱한 청년들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사죄했다.
25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나눔의집에 따르면 20∼30대 남성인 A씨 등 3명은 전날 오후 3시쯤 광주시 나눔의집을 방문해 할머니들 앞에서 일제히 무릎 꿇고 고개를 숙였다.
이옥선 할머니는 “그게(소녀상) 길에 가만히 앉아있는데 추우면 목도리를 하나 갖다줬나, 여름에 뜨거우면 모자를 하나 씌워줬나”며 “가만히 앉아있는데 침 뱉기는 왜 침 뱉어”라고 이들을 강하게 꾸짖었다.
이어 “앞날이 창창한 청년들”이라며 A씨 등을 용서해주겠다고 말했다.
A씨 등은 이후 나눔의집에 있는 위안부 역사관을 둘러본 것으로 알려졌다.
나눔의집 관계자는 “할머니들에게 연신 ‘죄송하다’며 용서를 구하는 A씨 등의 모습에서 진정성이 느껴졌다”며 “이들에 대한 고소는 모두 취하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일 범행에 가담한 나머지 1명은 아버지와 함께 나눔의집을 찾아와 용서를 빌었다.
A씨 등은 지난 6일 오전 12시 8분쯤 안산시 상록수역 광장에서 소녀상에 침을 뱉고 엉덩이를 흔드는 등 조롱하다가 제지하는 시민과 시비를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또 일본어로 ‘천황폐하 만세’를 외치기도 했다.
당시 이 모습을 목격한 시민 2명이 각각 경찰에 신고했다.
신고자들은 A씨 무리 중 1명이 일본어를 사용한 점을 근거로 이들이 일본인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지만 검거 후 확인한 결과 이들은 모두 한국인이었다.
범행 당시 이들은 “일본말을 하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더 모욕감을 줄 것 같아서”라고 경찰에 진술했다.
한편 모욕죄는 피해자가 고소해야만 처벌이 가능한 친고죄이다.
/안산=김준호기자 j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