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포커스]김종국"이제는 상권을 관리해야"

 

지난해에는 눈이 내리면 상가 슈퍼마켓 주인 할아버지께서 누구보다 빨리 골목의 눈을 치웠다. 그런데 금년에는 할아버지가 보이지 않는다. 대기업 24시간 편의점에 가게 터를 넘기고 장사를 접었다. 할머니와 같이 열심히 장사를 하여 자녀들 대학도 보내고, 결혼도 시켰던 삶의 터전이었다. 이처럼 한평생 해오던 사업을 접는 자영업자들이 한 분 두 분 늘어나, 자영업자 세 곳 중 한 곳이 일 년 안에 문을 닫는다고 한다. 경기도에서는 음식점 열 곳이 창업을 하고 아홉 곳이 폐업을 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경기가 어렵고 소비패턴이 바뀌면서 전통시장,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구조조정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동네빵집, 만화가게, 금은방과 같은 전통 업종이 골목상권에서 사라지고, 새로운 프랜차이즈형 점포들이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60∼70년대에 농지를 중요한 국가 자원으로 정하여 전담기관을 두고 경지정리, 용수개발, 수로정비 등을 잘 관리하여 농업 생산성을 크게 높였다.

이어 70∼80년대에는 공업을 진흥하기 위해 곳곳에 국가공단, 지방공단 등 공업단지를 조성하고 전문기관이 관리하고 있다. 90년대를 지나면서는 아파트 중심의 신도시를 만들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려는 택지개발과 관리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이처럼 농지, 공단, 주거지는 현재까지 전담기관에서 전문가들이 관리를 하고 있다.

상업지역은 소상공인들의 터전

그런데 도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상업지역은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지역임에도 이를 관리하는 전담기관이 아직 없고 관리제도 역시 미흡하다. 소상인들이 밀집한 전통시장이나 상점가는 그 주변으로 상권이 확장되고, 남대문이나 동대문상권, 명동과 같은 도심지 대형 상권은 도소매업이 집결하여 유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상권 전체를 관리하는 책임 기관이 뚜렷이 없다.

지방 도시의 중심 상가는 갈수록 영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중구나 중앙동이라는 명칭을 쓰는 곳은 장사가 안 되는 곳’이라는 푸념까지 나오고 있다. 신도시로 공공기관이 떠나면서 구도심은 옛날의 명성만 남아 있다. 시들어 가는 지방의 도심 상권도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업지역 부동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이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영업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 상권관리이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에 BID(Business Improvement District)제도를 만들어 뉴욕 같은 상업도시들은 주민자치와 전문가 참여형으로 상권을 관리하고 있다. 뉴욕 맨해튼에는 19개의 BID가 고객 접근성 개선, 주차장 관리, 고객유치 행사, 방범과 청소활동을 하고 있다.

영국은 1993년에 TCM(Town Central Management)을 만들어 상권을 관리하며, 2000년에 들어서는 BID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상가 건물주, 입주 상인, 지역 주민과 전문가, 언론사, 지방자치단체들이 비영리 상권관리기구를 만들고, 상권개발 전문가들이 이를 운영하고 있다.

상권관리에 필요한 재원은 건물주, 상인, 지자체, 중앙정부가 나누어 부담을 한다. 이러한 상권관리 모델은 일본, 캐나다, 독일 등 상당수 선진국들이 이미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시장에 일부 이를 적용하고 있지만 아직은 거리가 멀다.

상권관리제도 도입 서둘러야

지난 10여 년간 전통시장 살리기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어려워지는 흐름을 되돌리기에는 힘이 부친다. 장사는 목이 좋아야 된다고 한다. 상인들은 장사가 잘되는 상권을 찾는다.

골목시장을 살리려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조금 더 넓게 범위를 잡아 도시계획과 조화되는 발전적인 상권을 만들어야 한다.

상권관리기구는 고객을 유치하고, 업종을 조절하고, 대형 점포들이 고객을 끌어 들이면 이웃의 소상인 점포가 집객효과를 같이 활용하는 상생의 모델이 필요하다.

이제는 상업지역을 전문가들이 관리하여 매력 있는 상권으로 만들어야 한다. 상권이 살아야 그 지역 상인들의 영업이 잘된다. 장사도 더불어 잘 되어야 하는 시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