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들의 내년 설비투자 규모가 올해보다 평균 6.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기업 1천2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 설비투자계획 조사’ 결과 국내기업들의 내년 투자계획은 올해에 비해 평균 6.1%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또 ‘투자를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7.2%,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답한 기업은 57.5%로 나타났다. 반면 ‘줄이겠다’는 응답은 5.3%에 그쳐 내년에도 설비투자 증가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확대의 이유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신성장동력 등 신규사업 진출’(37.3%)을 꼽았다. 이어 ‘수출·내수시장 견조’(32.0%), ‘노후시설 개선’(26.1%) 등이 있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올해보다 6.7%, 중소기업이 5.8%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답해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투자확대에 더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조선‘이 10.3%로 투자를 가장 많이 늘릴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통신·방송서비스’(9.4%), ‘철강·금속’(8.5%), ‘기계류’(8.0%), ‘정유·석유화학’(7.8%), ‘고무·플라스틱·종이’(7.3%) 등이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는 22일 수원 호텔캐슬에서 ‘제26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표재석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장,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박덕흠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장을 비롯 200여명의 회원사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정기총회에서는 올해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하고 ‘2011회계연도 사업계획(안) 및 세입·세출예산(안) 결정의 건’을 주요 안건으로 진행됐다. 내년도 사업계획안을 보면 도급영역확보를 위한 발주관서 제간담회 개최, 회원사 임직원 대상 건설업 실무 위탁교육 실시, 건설산업활성화조례 개정 건의 등의 내용이 신설 추가됐다. 또 회원사 편익 증진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추진, 인터넷 실적신고 전면시행, 회원사 시공능력평가 지원체계 확충 및 개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표재석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내년도 건설경기가 쉽게 풀려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에 따라 경기도회는 지역건설산업활성화 조례와 주계약자 공동도급 제도를 보다 내실있게 확산해 이러한 위기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건설협 道회, 활성화조례 개정도 추진 중소기업청은 지방에 있는 1인 창조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 센터’ 13곳을 추가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센터는 개인 창업자가 전문가 교육을 받고 사무실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기존의 비즈니스 센터 17곳이 수도권에 몰려 있지만 이번에 새로 지정된 13곳 중 8곳은 비수도권에 있다. 각 센터는 창업 정보와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창업자들에게 제공하면서 1인 창조기업의 저변을 확대하는 지역 거점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함께 중기청은 창업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퇴직자들이 관련 교육을 받고 사무실로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인 ‘시니어 비즈플라자’ 6곳을 새로 지정해 내년 2월부터 운영한다. 중기청 관계자는 “1인 창조기업 및 퇴직자 정책에 관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체계가 구축돼 정책의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추가지정은 지난달 희망 지자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현장조사·평가를 거쳐 이루어졌다.
■ 올해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 25조 증발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이 총 25조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이달 21일 현재 전국 아파트 총 633만8천627가구(단, 2010년 입주아파트는 제외)의 시가총액은 1천739조2천9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인 1천764조4천82억원보다 25조1천992억원 감소한 금액이다. 수도권과 지방은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수도권 시가총액은 올해 1월 1일 기준보다 39조7천946억원 줄어든 1천322조3천972억원으로 나타난 반면 지방의 경우 올해 1월 1일 기준보다 14조5천954억원 증가한 416조8천118억원을 기록했다. ▲ 수도권 아파트 시가총액 결산 시·도별로는 서울특별시 16조3천25억원, 경기도 13조8천510억원, 신도시 7조6천527억원, 인천광역시 1조9천884억원 감소했다. 수도권 내 시·구 중에서는 경기도 용인시의 시가총액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용인시 시가총액은 3조9천67억원 감소한 65조3천55억원으로 주로 죽전동, 보정동, 신봉동, 성복동 등의 중대형 아파
경기도 실적공사비 적용기준이 100억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된다.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 개정안이 경기도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실적공사비는 과거 시행된 건설공사로부터 산출된 공종별 계약단가를 기초로 시간, 규모, 지역차 등에 대한 보정을 실시해 차기 건설공사의 예정가격 산출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경기도는 16개 지자체 중 유일하게 5억원 이상부터 실적공사비를 적용, 지역건설사들로부터 적절한 공사원가가 반영되기 어렵다는 지적으로 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개정으로 앞으로 도와 도 산하기관에서 발주하는 추정가격 100억원 미만의 모든 건설공사는 예정가격 산정 시 실적공사비 단가를 적용하지 않게 된다. 향후 도내 총 발주공사 중 약 2조2천억원 가량이 이번 개선의 적용 대상이 될 것으로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는 분석했다.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는 관계자는 “수주물량 감소 및 공사수익성 악화 등 경영난이 가중되는 현 상황속에서 이번 개정안의 통과로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수주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현행 실적공사비 제도는 지난 2004년 2월에 도입 되
도내에서 주택사업을 진행할 의지가 있는 중소 건설사의 수가 지난 7월 7년 만에 1천개 이하로 급감한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타 지역으로 사업장을 이동한 도내 건설사의 전출 규모가 전입 규모를 초과하는 ‘전출 초과 현상’이 5년 만에 발생할 것으로 전망돼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1일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에 따르면 11월 현재 도내 주택건설 등록 업체 수는 987개로 나타났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소속 회원사들은 중소 건설사들로 구성되며, 자본금 100억원 이상의 대형 건설사는 한국주택협회에 소속된다. 도내 중소 주택건설 등록업체 수는 지난 7월(995개) 1천개 이하로 크게 줄었다. 업체 수가 1천개 이하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04년 이래 처음이다. 이후 ▲7월 995개 ▲8월 998개 ▲9월 991개 ▲10월 988개 ▲11월 987개로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도내 등록 업체 수가 1천106개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11개월 만에 119개의 도내 중소 건설사가 사업을 포기한 셈이다. 더욱이 도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자 도내 지역을 떠나는 중소 건설사의 수도 늘고 있다. 올 1~11월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은 도내 우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제품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합동으로 구매상담회를 22일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NEP(신제품 인증마크), 성능인증 등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우수 기술개발제품을 보유한 도내 소재 85개 중소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LH는 본사 설계부서 담당자가 참가하며 건축, 기계, 전기, 토목, 기타(사무용품 등) 5개 분야별 일대일 매칭방식으로 구매상담회가 진행된다. 또 경기중기청은 ‘2011년 중소기업 지원제도’ 안내를 위한 부스를 부대행사로 마련해 참여 중소기업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관련 제도가 공공기관 전체로 확대되지 못하고 있고, 중소기업과 공공기관 간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보교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구매상담회 장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올해 국내기업들이 지난해에 비해 신규채용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www.incruit.com)는 상장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결산’ 조사 결과, 조사에 응한 675개 상장사의 올 신규 채용인원은 3만1천93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업이 뽑은 2만2천725명보다 40.5%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채용규모 뿐만 아니라 채용에 나선 기업도 늘었다. 2009년에는 채용을 실시한 기업이 71.6%(483개사)였던 것에 비해 올해는 78.4%(529개사)가 채용에 나서 채용 실시비율이 6.8%p 증가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매년 대규모 공개채용을 실시하는 대기업(149개사)은 올해 총 2만4천577명을 채용하며 지난해(1만7천585명)보다 39.8%가 늘어났다. 중견기업(189개사)의 경우에는 올해 4천628명의 대졸신입을 뽑아 지난해(3천75명)보다 무려 50.5%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으며, 중소기업(337개사) 역시 2천725명을 채용하며 지난해(2천65명)보다 32.0%가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물류운수(140.5%)가 두 배가 넘는 증가율을 보이며 채용규모가 가장 크게 늘어난 업종에 올랐다. 다음으로 ▲기
‘근로시간 저축휴가제’가 내년 7월부터 도입되는 것과 관련해 기업과 직장인 서로 상반된 의견을 나타냈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기업 인사담당자 745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저축휴가제’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3.3%가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하지만 직장인(698명)들은 81.2%가 ‘찬성’이라고 응답해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먼저, 인사담당자들은 반대하는 이유로 ‘이름뿐인 정책이 될 것 같아서’(38.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 ‘도입하면 혼란만 가중될 것 같아서’(31%), ‘업무 효율성이 떨어질 것 같아서’(30.5%), ‘직원간의 조율과정이 번거로워서’(28%), ‘시행할 여건이 되지 않아서’(25.4%)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찬성하는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쉬고 싶을 때 마음껏 쉴 수 있어서’(41.8%,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휴가철 탄력적 업무를 할 수 있어서’(41.3%),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 같아서’(36.7%), ‘업무에 동기부여가 될 것 같아서’(32.6%), ‘업무효율성이 높아질 것 같아서’(32.5%), ‘자기계발
‘SSM 갈등’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유통업계 최대 뉴스로 선정됐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유통업계 CEO, 학계·연구소 등 유통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2010년 유통업계 10대 뉴스’를 조사한 결과, 10명 중 9명(88.0%)이 ‘SSM(기업형슈퍼마켓) 갈등‘을 가장 큰 뉴스로 꼽았다. 이어 ‘쇼핑도 스마트폰시대’(57.8%), ’배추값 폭등’(37.3%), ‘온라인쇼핑 성장 쑥쑥’(37.3%), ‘대형마트의 온라인몰 사랑’(30.1%) 등을 선정했다. 대한상의는 “SSM이 상권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지역 중소상인들과 마찰을 빚었고 일부 기업이 사업조정으로 개점이 미루어지자 가맹점식으로 점포를 내면서 SSM를 둘러싼 논쟁이 극에 달해 유통업계의 핫 이슈가 됐다”고 밝혔다. 이밖에 ‘복합쇼핑몰시대 활짝’(25.3%)가 6위, ‘대형마트 10원 전쟁’이 7위, ‘불붙은 유통가 패권경쟁’이 8위, ‘유통기업 해외로 해외로’가 9위, ‘해외관광객 큰 손’이 10번째 뉴스로 꼽혔다. 대형마트는 지난해 경기침체와 더불어 근거리 쇼핑, 소량구매패턴이 확산되자 일부 품목에 대해 가격할인을 실시했고, 다른 경쟁업체들도 이에 뒤질세라 10원이라도 더 싸게 팔려고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