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의과학대학교 분당 차병원 심장내과 이승률 교수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서 저용량 콜히친 병합 단일 항혈소판제 치료법이 기존 치료보다 효과적인 것을 제안하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ACC Cardiovascular Interventions (IF: 11.2)’ 최근호에 게재됐다. 관상동맥 중재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 좁아진 혈관을 넓히는 치료법으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관상동맥 중재술 시 주로 사용되는 스텐트는 삽입 후 반드시 이중 항혈소판 치료를 필요로 해 이와 관련된 부작용이 종종 발생된다. 이승률 교수는 2021년 6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중재술을 받은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중재술 다음날, 아스피린을 중단하고 저용량 콜히친 병합 단일 항혈소판제 치료를 시작했다. 그 결과 염증 정도를 나타내는 hs-CRP(고민감도 C-반응성 단백질) 수치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24시간에 6.1mg/L에서, 1개월에 0.6mg/L로 감소했다. 혈소판 반응성 수치인 PRU(Platelet Reactivity Unit,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 윌스기념병원은 심혈관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처지를 위해 관상동맥 및 심장질환 전문의 이지혁 원장을 추가 영입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1일부터 진료를 시작한 이지혁 원장은 부산대학교 의과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등을 역임하며 심장 치료에 대한 풍부한 임상경험을 쌓았으며 대한내과학회, 대한심장학회, 대한심혈관중재학회, 한국심초음파학회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이지혁 원장은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질환과 선행질환, 심장판막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고 심장초음파와 심혈관중재시술 등으로 심장질환의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게 된다. 또 심·뇌·혈관센터에서 다학제 협진을 통한 최적의 맞춤형 치료계획을 수립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지혁 원장은 “심혈관 질환은 우리나라에서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나이에 상관없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확한 검사와 효율적인 치료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윌스기념병원 이동근 병원장은 “풍부한 임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