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레슬링 동호인들의 잔치’인 2024 경기도 전국생활체육 레슬링대회가 다음 달 19일과 20일 수원특례시 매탄다목적체육관에서 개최된다. 경기도레슬링협회가 주최하고 경기도레슬링협회·수원시레슬링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는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만에 다시 열리는 대회다. 이번 대회는 전통의 격투기 종목인 레슬링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저변 확대와 맨손으로 할 수 있는 코어운동의 대표 스포츠인 레슬링을 통해 국민의 체력증진을 도모하고, 대한민국 최초 올림픽 금메달 획득 종목인 레슬링의 국민적 관심 증가를 통해 생활체육으로의 정착 및 강화를 목적으로 마련됐다. 도레슬링협회는 이번 대회에 레슬링 동호인 500명 이상 출전을 목표로 현재 대회 홈페이지(www.ggwrestling.or.kr)를 통해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전국 레슬링 동호인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이번 대회는 13세 이하부(남녀통합)와 남자부, 여자부, 남자 40대 이상부로 나눠 진행된다. 13세 이하부는 –40, –50, –60, +60㎏ 등 4체급이 진행되며며 남자부는 -60, -67, -72, -77, -83, -90, -97, +97㎏ 등 8체급이 열린다. 또 여자부는 -50, -60
경기도산악연맹이 제14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생활체육등산대회에서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대한산악연맹은 지난 8일 연천군 연강나룻길 및 옥녀봉 일원에서 개최된 이번 대회에서 경기도산악연맹이 전남산악연맹과 서울특별시산악연맹을 제치고 종합우승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대한산악연맹이 주최하고 경기도산악연맹이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 연천군, 경기도체육회, 연천군체육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에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1500여명의 등산 동호인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연강나룻길과 옥녀봉 일원을 등반하며 2만 그루의 댑싸리와 꽃들로 조성된 공원에서 늦여름 정취를 만끽했다. 시·군·구 대항전에서는 수원시산악연맹이 광양시산악연맹과 인천광역시산악연맹을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이밖에 제주특별자치도산악연맹과 세종특별자치도산악연맹은 모범상을 받았고 충남산악연맹과 영월군산악연맹은 특별상을, 대전광역시산악연맹과 완도군산악연맹은 화목상을 각각 수상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생활체육등산대회는 등산 동호인들의 최대 축제로 등산문화 저변확대를 위해 매년 열리는 대회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내년도 생활체육 예산 일부를 대한체육회가 아닌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지방 체육회에 직접 교부하는 것이 적법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체부는 29일 언론보도 성명 자료를 통해 대한체육회가 체육회를 건너뛰고 정부 예산을 직접 집행하는 것은 국민체육진흥법 33조를 위반이라고 주장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의 이같은 주장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체육진흥에 관한 사무를 수행할 수 없고 대한체육회가 모든 사업을 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볼 수 있다”면서 “그러나 국민체육진흥법 제33조가 동 법(제3조, 제8조, 제10조, 제10조의2 등)에 따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체육진흥에 관한 사무를 수행할 수 없다거나, 모든 체육예산 집행을 대한체육회가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문체부는 “대한체육회에 지원하는 약 4200억원의 예산과 별도로 2024년 현재에도 축구, 야구, 배구, 농구, 자전거, 육상, 바둑, 산악, 씨름 등 종목단체를 대상으로 약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직접 지원하고 있다”면서 체육회를 거치지 않은 예산 직접 집행의 사례가 있음을 확인했다. 문체부는 아울러 “생활체육 예산 일부 개편은 정부예산 편성
정부가 대한체육회를 거쳐 지역에 교부하던 생활체육 예산 일부를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집행하기로 해 대한체육회 패싱이 현실화 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예산안이 지난 27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문체부 예산은 올해 대비 2.4%(1669억원) 증가한 7조 1214억원으로 편성됐다. 문체부 예산이 7조원을 넘긴 것은 2022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분문 별로는 체육 분문이 올해 대비 587억원(3.6%) 증액된 1조 6751억원으로 부문별 예산 중 가장 많이 증가됐다. 문화예술 부문이 407억원(1.7%) 증액된 2조 4090억원이며 콘텐츠 부문은 1조 2995억원(1.5% 증가), 관광 부문은 1조 3479억원(2.4% 증가)이 책정됐다. 내년도 문체부 체육 부문 예산 중 눈에 띄는 것은 지역자율형 생활체육활동 지원(140억 원), 신나는 주말체육 프로그램(140억 원), 학교운동부 지원(33억 원), 체육계 학교지원(21억 원), 학교체육시설 개방 지원(42억 원), 지방체육회 지원(39억 원) 등 생활체육 예산 416억원을 대한체육회가 아닌 지자체를 통해 시·도체육회로 집행하도록 이관한 점이다. 대한체
경기도체육회는 지난 23일 성남시 코리아디자인센터에서 ‘제35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2024 성남’ 시·군대표자회의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신상진 성남시장과 이덕수 성남시의회 의장, 이용기 성남시체육회장, 김택수 경기도체육회 사무처장을 비롯해 31개 시·군체육회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성남시의 ‘제35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2024 성남’ 개·폐회식 운영계획 등 대회 준비상황 보고에 이어 도체육회에서 종목별 경기진행 방법 등에 대해 안내했고, 회의 종료 후 개회식 시·군입장순서 추첨을 진행했다. 김택수 사무처장은 “제69회 경기도체육대회 2023 성남 대회에 이어 1년 만에 생활체육대축전이 개최되는 만큼 성공적인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한 뒤 “시·군체육회에서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체육회에서는 지난 22일 경기도체육회관 10층 대회의실에서 ‘제35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2024 성남’의 재난사고 대응관리 및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종목별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제35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2024 성남’은 오는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성남종합운
경기도가 제3회 전국어울림생활체육대축전에서 금메달 12개 등 총 27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도는 지난 14일부터 사흘간 서울특별시 일원에서 수영, 탁구, 배드민턴, 파크골프, 휠체어럭비, 좌식배구, 파라트라이애슬론, 스크린골프, 조정, 낚시 등 10개 종목이 열린 이번 대회에 110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금 13개, 은 9개, 동메달 5개 등 총 27개의 메달을 수확했다고 16일 밝혔다. 배드민턴 강진용-이장우 조는 남자복식(휠체어통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뒤 혼성 4인조(휠체어통합)에서도 구종근, 정선영과 팀을 이뤄 정상에 올라 2관왕이 됐고 박민재-곽종일 조는 남자복식(IDD통합)에서 1위에 오른 뒤 정태규, 김승미가 가세한 혼성복식(IDD통합)에서 금메달을 추가해 2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또 탁구 여자복식(스탠딩)에서는 한명화-이명란 조가 우승했고 스크린골프 남녀통합(지체뇌병변부)에서는 김용선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조정에서는 남녀 500m 개인전(지적장애) 이환희와 이단비, 여자 500m 개인전(시각장애) 최유하영, 남녀 500m 어울림단체(지적+비장애) 김성진-박창현 조와 윤희재-권예지 조도 나란히 정상에 동행했다. 한편 경기도는 좌식배구 여자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팀이 돼 장애인생활체육을 즐기는 제3회 전국어울림생활체육대축전이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등 서울시내 10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대한장애인체육회가 주최하고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는 수영, 탁구, 배드민턴, 파크골프, 휠체어럭비, 좌식배구, 파라트라이애슬론, 스크린골프, 조정, 낚시 등 10개 종목이 진행되며, 전국 17개 시·도에서 만 16세 이상 장애인과 비장애인 선수를 비롯해 보호자, 시도 임원 등 1181명(선수 831명, 임원 및 보호자 350명)이 침기힌다. 경기도에서는 좌식배구와 파라트라이애슬론, 낚시 등 3개 종목을 제외한 7개 종목에 모두 110명의 선수단이 출전한다. 백경열 경기도선수단장(경기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은 “이번 대회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고 소통하는 화합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도내 생활체육인들이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없이 더 많은 스포츠 참여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개회식은 14일 오후 4시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개최된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체육웅도’ 경기도가 전국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화합의 장인 ‘2024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21회 연속 최다 종목 우승을 달성하며 10회 연속 종합우승 격인 경기력상을 수상했다. 경기도는 28일 울산광역시 울산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에서 막을 내린 대회에서 41개 정식종목에 1994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23개 종목에서 1위에 오르며 종합우승 격인 경기력상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이로써 경기도는 지난 2001년 생활체육 참여 확산과 지역·계층 간 화합에 기여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국민생활체육전국한마당축전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린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21회 연속 최다 종목 우승을 차지하며 체육웅도의 면모를 다시한번 과시했다.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은 2019년까지 매년 개최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2020년과 2021년 대회가 취소됐고 2022년에는 종목별로 분산개최됐다. 지난 해 다시 정상적으로 대회가 개최되면서 20회 연속 최다 종목 우승과 9회 연속 경기력상을 수상한 경기도는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올해 대회에서 다시한번 정상에 오르며 우리나라 생활체육의 새역사를 만들었다. 경기도는 울산문수롤러경기장에서 열린 롤러에서 16회 연속 종목우승을 달성했고 축
유원석(안산시)과 강윤지(수원특례시)가 제16회 전국생활체육 대장사씨름대회에서 남녀부 대장사에 등극했다. 유원석은 26일 전남 강진군 강진제1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부 대장사 결정전에서 김재영(김포시)을 2-0으로 꺾고 황소 트로프를 들어올렸다. 이날 8강에서 윤한도(평택시)를 뿌려치기와 들배지기로 꺾고 4강에 오른 유원석은 준결승전에서 임태현(평택시)을 밀어치기와 끌어치기로 따돌리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김재영을 만난 유원석은 첫 판을 잡채기로 따낸 뒤 둘째판에서도 밀어치기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유원석은 대회 첫 날 중년부 +90㎏급 우승에 이어 대회 2관왕이 됐다. 여자부 대장사 결정전에서는 강윤지가 박지유(수원특례시)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전날 여자부 여자부 무궁화급(80㎏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강윤지는 8강에서 유인애(서울시)를 2-0으로 완파한 뒤 준결승전에서 엄지은(김포시)를 2-0으로 따돌리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 같은 팀 박지유를 만난 강윤지는 첫 판을 밀어치기로 따낸 뒤 둘째 판을 안다리로 내줬지만 마지막 판에 다시 밀어치기로 승리를 거두며 장사 타이틀을 획득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강윤지(수원특례시)가 제16회 전국생활체육 대장사씨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강윤지는 25일 전남 강진군 강진제1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여자부 무궁화급(80㎏급) 결승에서 추명화(경남)를 2-0으로 제압하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4강에서 허채은(전남 영광군)을 상대로 2-0 완승을 거둔 강윤지는 추명화와 결승전에서 배지기로 첫 판을 따낸 뒤 둘째 판에서도 들배지기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여자부 매화급(60㎏급) 결승에서는 이현민(김포시)이 엄지은(김포시)을 2-0으로 제압하고 정상에 올랐다. 준결승전에서 김보미(서울시)를 2-0으로 꺾은 이현민은 결승전 첫 판에서 밭다리로 엄지은을 제압한 뒤 둘째 판에서도 오금당기기로 승부를 결정지으며 정상에 등극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