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임성재, 한지현이 8월 22일(금) 오전,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린 영화 ‘얼굴’ 제작보고회에 참석해 공통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얼굴’은 살아있는 기적이라 불리는 시각장애인 전각 장인 ‘임영규’의 아들 ‘임동환’이, 40년 전 실종된 줄 알았던 어머니의 백골 시신 발견 후, 그 죽음 뒤의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오는 9월 11일 개봉한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배우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임성재, 한지현이 8월 22일(금) 오전,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영화 ‘얼굴’ 제작보고회가 열려 참석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한편 ‘얼굴’은 살아있는 기적이라 불리는 시각장애인 전각 장인 ‘임영규’의 아들 ‘임동환’이 40년 전 실종된 줄 알았던 어머니의 백골 시신 발견 후, 그 죽음 뒤의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오는 9월 11일 개봉한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이 한국문학 분야 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 한국문학의 얼굴들’ 투표에서 김애란과 이병률 작가가 선정됐다. 한국 소설 분야는 김애란 작가의 ‘이중 하나는 거짓말’이 4.80%의 지지를 얻으며 1위에 올랐다. ‘두근두근 내 인생’ 이후 13년 만에 출간된 김애란 작가의 신작은 출간 직후 큰 반향을 일으키며 2024년 한국소설 신간 베스트 1위 도서로 꼽혔다. 이후 독자 투표 ‘2024 올해의 책’ TOP 10으로도 선정되며 독자들에게 연중 내내 꾸준히 사랑받았다. 한국 소설 분야 2위, 3위로는 ‘영원한 천국(정유정)’과 ‘대온실 수리 보고서(김금희)’가 순위에 올랐다. 한국 시 분야는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의 이병률 작가가 4.01%로 최다 득표를 얻으며 선정됐다.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병률 작가의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은 그의 7번째 시집으로, 2024년 한국시 신간 베스트 1위 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 시 분야 2, 3위로는 ‘한강의 시인((사)한국시인연대)’과 ‘버킷리스트(나태주)’가 그 뒤를 따랐다. ‘한국문학의 얼굴들’은 한국 소설과 한국 시를 대상으로 한 해를 대표하는 소설과 시
얼굴천재 차은수와 리포터 김태진이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얼굴천재 차은수’ 게릴라데이트 최차차차 녹화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얼굴천재 차은수는 94년 개띠로 그룹 ‘에이 플러스’ 센터 출신이자 톱배우로 12번째 전성기를 맞고 있는 개그맨 박명수의 부캐릭터이다. *본 사진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얼굴천재 차은수와 리포터 김태진이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얼굴천재 차은수’ 게릴라데이트 최차차차에 출연하고 있다. 한편 얼굴천재 차은수는 94년 개띠로 그룹 ‘에이 플러스’ 센터 출신이자 톱배우로 12번째 전성기를 맞고 있는 개그맨 박명수의 부캐릭터이다. *본 사진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경기인형극진흥회가 8월 18일부터 24일까지 약 한 주간 ‘2023 경기인형극제 in Suwon’을 개최한다. 경기인형극제는 경기인형극진흥회가 주관하는 수원시 대표행사로, 약 20년 간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축제다. 이번 경기인형극제의 핵심 슬로건은 ‘시간을 뛰어넘는 동심, 공간을 뛰어넘는 감동’으로, 어른과 아이 구분하지 않고 모두 즐길 수 있는 인형극제가 되는 것이 목표다. 이번에 선정된 인형극의 폭은 매우 넓고 다양하다. 눈에 띄는 것은 1세 아기를 위한 공연인 ‘얼굴과 얼굴-마주봄’이다. 지금까지 어른을 위한 인형극이 많았지만, 이번 연극은 1세 전후의 아기들이 즐길 수 있도록 감각과 자유에 집중했다. 이외에도, 재활용품으로 만들어진 인형으로 생명의 순환을 얘기한 ‘이상하나 콘서트’, 여러 가지 장난감들과 그림자로 소외된 현재의 관계성을 회복하려는 ‘목수장이 엘리’가 준비돼 있다. 또 음악과 인형극의 결합으로 인해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는 ‘피터와 늑대’, 방정환 선생님의 작품으로 우리나라의 말맛을 화려하게 살린 ‘그것 참 좋다!’ 등 5개 공연이 한 주를 수놓을 예정이다. ‘2023 경기인형극제 in Suwon’은 오는 8월 18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당신얼굴 앞에서 장르 : 드라마 감독 : 홍상수 출연 : 이혜영, 조윤희, 권해효 21일 개봉한 홍상수 감독의 영화 ‘당신얼굴 앞에서’는 수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와 동생의 집에 머물고 있는 과거의 배우 상옥(이혜영)의 이야기를 다룬다. 고층 아파트에 있어 본 적이 없는 그녀는 ‘여동생은 어떻게 이런 높은 곳에 살면서 괜찮은 걸까’란 의문이 들면서도, 며칠 전부터 동생 집에 불쑥 들어와 살고 있다. 하루 동안 동생 정옥(조윤희)과 산책을 하고, 조카의 가게와 자신이 옛날에 살던 집을 찾아간다. 그녀보다 나이 어린 영화감독(권해효)이 영화에 출연했으면 좋겠다는 연락을 해오고, 한두 번 사양했지만 끝내 감독을 만나러 간다. 서울 도심 어느 골목에 있는 작고 오래된 술집에서 낮술을 마시는데 비가 내리고 천둥이 친다. 우리들의 삶이 보이는 듯한 상옥의 일상에서 고단함이 묻어나기도 한다. 홍상수 감독의 26번째 장편영화 ‘당신얼굴 앞에서’는 지난 7월 열린 제74회 칸 국제영화제 칸 프리미어 부문에 공식 초청됐다. 또한 제59회 뉴욕영화제 메인 슬레이트와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 부문에 초청돼 호평을 받았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
◆내 얼굴에 아버지가 있다/우동준 지음/호밀밭/192쪽/1만2800원 ‘1990년생 청년이 만난 우리 시대 아버지들의 이야기’ 책 소개에 앞서 아버지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지 묻고 싶다. 어릴 적 아버지가 태워주던 목마, 퇴근길에 사 오신 통닭, 무심한 듯해도 힘내라며 따뜻한 응원을 해주시는 모습, 이밖에도 다양한 모습 등 저마다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자녀를 둔 남자를 부르는 말인 아버지, 사회는 이 이름에 많은 무게감을 부여한다. 90년생 저자는 사회가 만든 아버지상을 해체하기 위해 세상의 수많은 아버지를 만나게 됐다고 밝혔다. 어린 시절, 백 밤만 자면 오겠다는 아버지와 멀어진 후 시간이 지날수록 빈자리가 익숙해지며 존재마저 희미해졌다고 고백한 저자 우동준. 그는 어느 날 거울 앞에 마주한 자신의 모습에서 익숙한 주름, 익숙한 표정을 통해 아버지를 발견했다고 한다. “인터뷰 작업은 아버지와 닮은 내 모습을 발견하며 시작했고, 내 안에 담긴 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조금씩 내려놓기 위해서 이어왔다.” 이 책에 나오는 아버지 인터뷰 프로젝트의 이름은 ‘돼지국밥’. 닮은 맛이지만 저마다의 개성을 지닌 돼지국밥은 저자가 아버지와 함께 먹었던 마지막 음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강헌) 경기학센터가 ‘경기그레이트 북스’ 27번째 책으로 ‘도시의 두 얼굴 - 경기도 신도시의 탄생과 성장’을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책은 1960년대 후반 이후 경기도에 건설된 주요 신도시의 탄생 과정과 진화 양상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 담긴 내막과 사연을 살폈다. 정치권력과 개발자본이 결속해 주도한 신도시 건설사업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신도시가 들어선 곳에서 오래전부터 살아왔던 주민은 느닷없는 개발 바람에 어떻게 대처했으며, 신도시에 살게 된 주민은 어떻게 낯선 이주지를 정착지로 만들어나가고자 했는지 돌아봤다. ‘도시의 두 얼굴’이라는 책 제목처럼 경기지역 신도시 건설이 가져온 공과(功過)와 명암(明暗), 희비(喜悲)에서 과(過)와 암(暗), 비(悲)에 좀 더 무게를 뒀다. 세상에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곡절 깊은 이야기인 비화(祕話)와 슬픈 이야기인 비화(悲話)에 초점이 맞춰진 셈이다. 그렇다고 해서 신도시 개발이 이룬 공(功)과 명(明)의 성과를 폄하하려는 것은 아니며, 지난 시기의 오판과 실책을 되짚어 더 나은 미래의 도시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지침을 찾아보려는 데 뜻을 두었다는 게 경기학센터의 설명이다. 저자 조윤
지난 2018년 10월 ‘풍선과 소녀’란 그림이 104만 파운드(약 15억 원)에 낙찰되자 그 자리에서 파쇄하는 퍼포먼스를 보인 작가 뱅크시. 당시 “의도된 행위”라고 밝히면서 일약 예술계 스타가 된 그가 최근엔 코로나19로 야외활동이 어려워지자 집 안에서 쥐, 휴지, 오물 등을 활용한 작품을 만들어 공개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로 화제가 됐다. '얼굴없는 거리의 화가'로도 유명한 뱅크시의 작품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오는 12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막을 올리는 '어반 브레이크 아트 아시아(URBAN BREAK Art Asia)'에 마련된 특별전을 통해서다. 영화감독으로도 활동한 뱅크시는 2010년 다큐멘터리 영화 ‘선물가게를 지나야 출구’라는 작품으로 데뷔, 2011년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이렇듯 예술계에 굵직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뱅크시지만, 아직 그의 정체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없다. ‘한 밴드의 보컬이다’, ‘스트리트 아트 그룹이다’ 등 다양한 루머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베일에 가려진, 뱅크시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어반 브레이크’에서는 제이플로우, 스피브, 위제트, 락화,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