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 위의 새로운 여제’ 김민선(의정부시청)이 2022~2023 국제빙상연맹(ISU) 4대륙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김민선은 5일 캐나다 퀘백의 글라시스 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여자 1000m에서 1분16초066으로 예카테리나 아이도바(카자흐스탄·1분16초191)와 베아트리체 라마르슈(캐나다·1분17초393)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민선은 대회 첫 날 여자 500m 우승에 이어 대회 2관왕에 등극했다. 8조 아웃코스에서 출발한 김민선은 첫 200m에서 17초97을 기록하며 전체 2위에 오른 뒤 이후 스피드를 올려 600m 지점을 통과할 때 45초74로 전체 1위로 올라섰다. 김민선은 마지막 400m 구간을 30초3대의 기록으로 끊으며 1분16초066으로 우승을 확정지었다. 김민선은 지난달 열린 ISU 월드컵 1차 대회 여자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데 이어 여자 1,000m 은메달을 차지했고, 월드컵 2차 대회에서도 여자 500m 금메달을 목에 거는 등 이번 시즌 열린 국제대회에서 잇따라 메달을 수확하며 새로운 ‘빙속 여제’로 떠올랐다. 김민선은 9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개막하는 월드컵 3차 대회에 출전한다. 또
‘여자 빙속 새로운 여제’ 김민선(의정부시청)이 4대륙 선수권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며 3개 대회 연속 금빌 레이스를 펼쳤다. 김민선은 3일 캐나다 퀘벡의 글라세스 센터에서 열린 2022~2023 국제빙상연맹(ISU) 4대륙선수권대회 여자 500m에서 38초141의 트랙 레코드(경기장 최고 기록)를 세우며 고나미 소가(38초519)와 유키노 요시다(38초556·이상 일본)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7조 인코스에서 스타트를 끊은 김민선은 첫 100m를 전체 4위 기록인 10초68에 끊었지만, 무서운 뒷심을 발휘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김민선은 지난 달 월드컵 1차 대회와 2차 대회 여자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데 이어 이번 대회까지 3개 대회 연속 정상에 오르며 ‘신빙속여제’에 등극했다. 2차 월드컵 이후 한국에서 컨디션을 조절했던 김민선은 4대륙선수권대회에서도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이밖에 남자 5000m에서는 이승훈(IHQ)이 6분23초364로 비타리 크시코레프(카자흐스탄·6분22초815)에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도 김준호(강원도청), 김태윤(서울시청), 박성현(강원일반)이 팀을 이뤄 1분21초252로 캐나다(1분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단거리 간판’ 김민선(23·의정부시청)이 국제빙상연맹(ISU) 월드컵 여자 1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민선은 13일 밤 노르웨이 스타방에르에서 열린 2022~2023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1차 대회 마지막 날 여자 1000m 디비전A에서 1분15초82의 기록으로 유타 이르담(네덜란드·1분15초61)에 0.21초 뒤진 2위를 차지했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여자 1000m 금메달리스트인 일본 빙속 간판 다카기 미호는 1분16초41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중국의 진 징저우와 함께 7조 아웃코스에서 출발한 김민선은 첫 200m를 전체 2위 기록인 17초98에 통과한 뒤 안정적인 자세로 레이스를 이어갔고 200∼600m 구간을 27초78, 600∼1,000m 구간을 30초06에 주파하며 전체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한국 여자 빙속 선수가 월드컵 여자 1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건 김민선이 처음이다. 여자 500m 세계 신기록 보유자이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빙속 여제’ 이상화도 월드컵 대회 여자 1000m에서는 동메달만 2개를 땄다. 김민선은 전날 여자 500m 우승에 이어 여자 1000m에서도 세계 최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