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용인경량전철공사의 부실공사 및 실시협약 특혜의혹 등으로 촉발된 재협약 논란에 이어 지분매각과 협약해지, 손해배상 청구 주장과 함께 시민단체들의 잇따른 의혹규명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본지 10월21일자 8면, 23일자 1면, 24일·26일자 8면, 29일자 1면, 11월5일자 9면, 27일자·29일자·12월10일자 7면 보도> 이번엔 핵심부품의 불량자재시공의혹이 제기돼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기업윤리를 저버리고 시민의 안전을 담보로 이익창출에만 혈안이 되었다는 비난과 함께 용인경전철 전체 사업에도 막대한 파장을 안고 올 것으로 보여 파문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7일 용인시와 용인경전철(주) 등에 따르면, 약 2주전 교좌장치(받침)의 핵심부품인 베어링에 당초 설계와 달리 강도와 경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전혀 다른 재질을 사용했다는 제보가 접수되어 현재 자체 확인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2006년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제작, 납품된 제품들이 의혹의 대상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이들 제품에 대한 검사가 의혹과 관련한 논란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교량안전의 핵심장치인 교좌장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중전달과 이동, 회전을 하부구조물에 전달하는 장치로 상판, 하판,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용인경전철 현장에는 스페리컬베어링과 고안정내진받침이 설계에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불량자재의혹이 제기된 스페리컬베어링의 경우 핵심부품인 고력황동베어링 제작시 고력황동주물에 고체윤활제를 삽입해 만들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른 재질인 철을 사용해 향후 교량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약 2주전 감리단장 앞으로 투서가 제보되어 감리단장이 전체 4개공구 제품중 임의로 4개의 제품을 샘플링해 품질의뢰한 바 있다”면서 “의혹이 사실이든 아니든 81만 용인시민의 안전이 걸린 일인만큼 정확한 파악과 점검으로 모든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경전철(주) 관계자도 “전국 최초의 경전철사업으로 안전과 철저한 시공이 가장 우선”이라며 “의혹이 제기된 기간에 납품된 제품들을 검수해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최상의 품질로 시공한다는 것을 입증할 것”이라 말했다.
의혹의 스페리컬베어링을 납품한 D회사 대표는 “어떠한 경우에도 그러한 불법자재시공은 있을 수 없다”면서 “이미 김해에서도 비슷한 음해에 시달린 바 있으나 사실무근으로 판명된 바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