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토종종자가 100년 만에 다시 국내로 돌아왔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29일 일본 농업생물자원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한국 유전자원 중 국내에서 소실된 32개 작물 1천546점의 종자를 공식 반환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반환받은 종자는 1930~40년대 이전의 고유 토종재래종으로 곡류(4작물) 649점, 잡곡류(6작물) 215점, 두류(5작물) 446점, 채소류(8작물) 29점, 땅콩 등 특용(6작물) 202점, 비수리 등 기타(3작물) 5점이다.
농진청은 그동안 해마다 개최되는 ‘한일농림수산기술협력위원회’를 통해 일본측에 한반도 원산 유전자원 반환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번번히 거절당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미국이 보유하고 있던 한반도 원산 유전자원 34종 1천679점 반환과 지난 4월 이명박 대통령의 일본방문 등이 계기가 돼 29일 1천546점을 반환받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반환되는 토종자원 중에는 국내에서 거의 자취를 감춘 기장, 식용피 등도 포함돼 있어 정월대보름날 오곡밥 등으로 대표되는 토종 잡곡 복원을 통한 웰빙시대의 신 건강식품 개발의 계기가 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남한에서 사라진 북한지역 토종자원인 아마 등도 다수 포함돼 저온에서 견디는 새로운 품종 육성 및 활용이 가능해지는 등 한반도 전역에 걸친 고유자원의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농진청 유전자원과 김창영 연구관은 “이들 토종자원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식량문제 해결의 열쇠가 되는 새로운 품종 육성은 물론 농식품 산업발전과 식·의약품, 생명공학 분야의 신 물질 개발 소재 등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만큼 무한한 가치를 지닌다”고 밝혔다.
한편 농진청은 국제기구와의 지속적인 자원 외교를 통해 오는 6월에는 ‘현대판 노아의 방주’로 불리는 노르웨이 스발바드의 국제 유전자원 저장고에 우리 토종종자를 영구보존하기 위해 중요 자원들을 기탁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