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15일 국방부와 경기북부 의료 취약지역의 민간인들이 야간과 휴일 등 의료취약시간대에 군병원의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취약지역 대민 응급진료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방부는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24시간 응급진료서비스를 제공하며 도는 군병원, 119구급대, 1339응급의료정보센터, 시·군 보건소 등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해 군의 진료를 적극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도와 국방부는 군장병 및 민간인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공동방역은 물론 의료 취약계층 무료진료, 대민봉사활동 등도 실시하고 보건소를 활용한 보건사업도 연계 추진할 방침이다.
군병원이 위치한 이 지역 주민들은 야간이나 주말에 교통사고환자 발생 등 응급상황에 처해도 진료 가능한 병의원이 없어 먼 곳까지 원정진료를 받는 불편함을 감수했으며 이 일대를 찾는 관광객들도 응급시에 큰 불편을 겪어왔다.
특히 가평 청평면의 경우, 야간에 환자가 발생하면 인근 춘천, 서울까지 나가야 하고 겨우 1곳 있던 야간진료 의원마저 보건복지가족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야간진료를 포기했을 정도였다.
도는 이번 협약으로 민간인의 군병원 이용 건수가 증가해 도민의 의료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응급의료취약지 주민과 군장병 모두가 양질의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 민·군·관 이 상호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이 발굴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도 “현재 경기북부 지역소재 군병원은 첨단 최신의료장비와 전문의 자격 군의관 등 우수인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여기에 응급실확충을 위한 국비지원이 이루어지면 취약지 지역주민과 군장병의 응급진료향상, 군병원의 위상제고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