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4대강 살리기 일환의 팔당호 주변 생태복원사업과 관련, 정부와 도의 예산투입 규모가 큰 차이를 보이며 사업추진 과정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팔당호 주변 생태복원사업 대상지로 광주시 귀여리지구와 남양주시 다산지구 등 2곳을 추진 중에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러나 팔당호 주변 생태복원사업 추진과 관련, 정부와 도의 구상안이 예산규모에서 최고 6배의 차이를 보이는 등 서로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 정부는 52만3천㎡ 규모의 광주시 남종면 귀여지구에 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하천환경정비사업 추진만을 구상하고 있다.
4만4천800㎡ 규모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다산지구에도 16억원의 예산만으로 둔치를 조성하는 생태환경 사업만을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도의 귀여리지구 구상안은 정부 예산 50억의 3배가 넘는 약 160억원 예산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도는 생태학습장, 천수시설, 습지조성, 옛나루터 등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또 다산지구도 정부가 구상 중인 부지 4만4천800㎡의 4배에 달하는 16만6천636㎡에 128억원의 예산을 들여 수질검증단지, 다산채원, 체험농장, 조류관찰시설 등의 건립 구상안을 추진 중이다.
이같은 이유는 귀여리지구의 경우 국토해양부가 설계반영 및 사업지 확보 문제를 들어 영농보상을 배제한 반면 도는 영농보상 배제 상쇄를 위해 간접지원 차원에서 습지조성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도는 환경부와 공동으로 습지조성 구상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사업비는 한강수계관리기금 지원 협의를 벌이고 있다.
다산지구도 정부 구상 면적과 도의 계획부지간 현격한 차이로 사업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도는 다산지구의 경우 실시설계 단계에 있는 만큼 정부와 구체적인 사업범위 및 재원분담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귀여리·다산지구 2곳 모두의 생태습지 구상안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강살리기 환경영향평가 때 포함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