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상반기 미분양 수가 2.12대책(미분양 양도소득세 한시적 면제) 등 조치로 7천659가구 줄어들었지만 지역별 물량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도의 부동산 동향 및 미분양 감소추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도내 미분양 해소 실적은 모두 7천659가구로 3조8천604억원 상당의 미분양 주택이 팔렸다.
이에 따라 조례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한 숨겨진 미분양 및 신규 미분양 발생으로 지난 4월 2만3천51가구에 달했던 도내 미분양 수는 지난달 말 2만820호로 감소했다.
시·군별로는 미분양 물량이 많아 한시적(5년) 양도세 감면 조치로 인해 가장 큰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던 고양과 용인이 각 2천350가구, 1천488가구가 분양돼 1,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1월 당시 고양은 5천319가구, 용인은 4천500가구가 미분양 주택이었으며 이외에 수원(2천651가구), 평택(2천140가구) 등도 미분양주택이 많은 시·군에 속했다.
도는 상반기 도내 미분양이 크게 감소한 것에 대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미분양주택에 대한 한시적(5년) 양도세 감면 추진과 재미교포(54호) 등 해외판매, 22회에 걸친 지역 개발비전 설명회, 경기넷 분양정보 코너를 통한 미분양 정보 제공 등이 많은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평택의 경우 480가구가 분양되면서 상위권에 속한 반면 수원은 117가구에 그치는 등 상당수 시·군의 미분양 주택이 감소했으나 지역별 편차도 크게 나타났다.
특히 의왕(1가구)과 과천(4가구), 군포(4가구) 시흥(8가구), 하남(9가구) 등 10가구에도 채 못 미치는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역별 편차에 대해 도는 미분양 현황 차이를 비롯해 7월 개통된 경의선 복선전철, 용인 서울간 고속도로, 경춘 고속도로, 지하철 9호선 교통 라인 등 대형 호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도는 부동산 시장 과열 방지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LTV(주택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를 강화 움직임에 대해 우려의 시선을 비췄다.
도 관계자는 “DTI는 실질적인 대출액을 결정하는 만큼 저소득층이나 소득을 증빙하기 어려운 자영업자는 대출을 통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고 미분양주택 해소도 어려워지는 등 역기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국지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