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05년부터 불거져 나온 동두천시와 양주시간의 악취문제 해소를 위해 동두천 소재 악취배출업체와 음식물 처리업체 등의 시설개선 비용을 정부와 서울시에 분담 요청했지만 예산 확보와 서울시 자치구들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도는 동두천-양주 간 고질적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악취 유발지역인 양주시 하패리 일대와 피해지역인 동두천시 생연·송내지구 아파트 지역 등에 대한 악취오염도 검사를 실시했다.
이는 2005년부터 115건 등 올해 8월까지 총 391건의 악취문제 관련 집단민원이 제기됐음에도 불구, 대다수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데다 동두천시가 도에 직접 도움을 요청하는 등 문제가 점차 확산됨에 따라 도가 직접 나선 것.
2일간의 도의 현장 조사 결과, 동두천 소재 섬유업체 16개소와 피혁업체 20개소, 음식물처리업체 5개소, 축산농가 108곳 등에 총 35억1천만원의 개선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음식물업체의 경우 강남, 강북, 노원, 은평, 성북, 성동구 등 서울시 6개 구청이 양주 및 동두천 내 4개 민간처리시설에 위탁처리를 하고 있음에도 운반·처리 비용만 지불하고 악취시설 개선에 대한 부담을 하지 않고 있는 등 문제점으로 지적, 도는 개선비용을 정부와 서울시 측에 분담할 것을 건의한 상태다.
도가 제시한 분담안은 산업단지 36개의 개선부담금 14억5천만원의 경우 국비(5천400만원), 도비(2억2천750만원), 동두천시(2억2억750만원), 피력·섬유업체 등(4억5천500만원)이 분담하고 음식물 처리업체는 도(9천750만원), 서울시(1억1천700만원), 양주 및 동두천시(9천750만원), 처리업체(7천800만원) 등이 분담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4대강 사업 등 핵심사업에 정부와 예산을 분담하고 있어 힘들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는 서울시는 또한 관련 구청들의 공식 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답변만 내놓고 있어 도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 관계자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 정부와 서울시에 대응방안을 건의했지만 아직까지 최종협의가 되지 않는 등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무려 4년간을 끌어온 고질적 문제인 만큼 빠른 해결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