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팔순 농부의 ‘46년 전원일기’

경기문화재단 ‘평택대곡일기 간행사업’ 완료
신권식 옹 삶 고스란히… 사회 변화자료로 활용

80세의 시골 농부가 40년 넘게 써온 일기가 3권의 책으로 완간됐다.

경기문화재단은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제3권을 발간하고 지난 3년에 걸쳐 진행해 온 ‘평택 대곡일기’ 간행사업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평택 대곡일기’는 한국전쟁 직후인 지난 1954년부터 현재까지 평택시 청북년 대곡마을에서 살고 있는 신권식 옹(80)이 1959년부터 2005년까지 46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써온 일기를 3권의 책으로 엮은 농촌 생활사이다.

재단은 (사)지역문화연구소와 공동으로 신 옹의 일기를 경기도 전통문화자료총서로 기획·발간하기로 하고 2007년 전체 분량 중 1959~1973년까지의 일기를 묶어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제1권을 발간했다.

지난해에는 1974년~1990년도까지의 2차분 일기를 제2권으로 펴냈으며 올해 1991년~2005년까지 15년간의 일기를 모아 평택 일기의 완결편인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제3권을 완간하게 됐다.

재단은 모두 44책에 달하는 신 옹의 일기를 심도 깊은 검토와 분석,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개관’, ‘경제생활’, ‘의식주생활’, ‘사회생활’, ‘고잔리 민속’ 등 5개 분야로 나눠 정리했다.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신 옹의 일기는 개인의 평범한 일상은 물론 당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적인 사회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어 급격한 산업화의 과정에서 농촌사회의 변화상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