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는 오는 29일과 다음달 2일 광교산과 용문산, 남한산성, 휴양림 등의 주요 등산로에서 등산객들을 대상으로 독버섯 식별요령 홍보활동을 벌이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버섯연구소에 따르면 국내에서 보고된 야생버섯 1천500여 가지 가운데 90여종이 독버섯으로 알려졌다.
독버섯중에 여름에서 가을 사이 숲속에서 발생하는 개나리광대버섯과 작은 계란 모양으로 성장하면서 대와 갓이 흰색인 독우산광대버섯 등은 맹독버섯으로, 먹을 경우 출혈성 위염, 급성 신부전 등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
연구소는 독버섯을 먹었을 경우 119에 신고한 뒤 의식이 있고 경련이 없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물을 마시고 토하도록 할 것을 당부했다.
또 먹고 남은 버섯을 비닐봉지에 담아 환자와 함께 병원으로 보내, 섭취한 독이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을 부탁했다.
연구소는 이번 홍보행사에서 각종 독버섯의 사진 및 특징과 함께 섭취했을 경우 증상, 대처 방법 등을 담은 안내 책자를 배포할 예정이다.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가도 이같은 독버섯의 특징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