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가 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행정안전부에 자율통합 의사를 전달키 위해 경기도에 건의서를 제출했지만 구리시의 반대에 부딪힌 가운데 경기도가 남양주시의 일방적인 통합움직임에 거부감을 드러냄에 따라 남양주-구리간 통합 논의가 안개속에 빠져들고 있다.
7일 도와 남양주시, 구리시 등에 따르면 이석우 남양주 시장은 이날 오전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만나 구리시와의 자율통합 건의서를 제출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이후 이 시장은 공명식 시의회 의장과 경기동부상공회의소 김준택 회장 등 3명의 사회단체장과 함께 이달곤 행안부 장관을 만나 구리시와 자율통합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이석우 시장은 “남양주와 구리시가 안고 있는 규제와 도시규모에 대한 제약, 행정구역이라는 칸막이 등으로 인해 두 도시는 서로 상생하지 않으면 미래의 도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두 지역은 1994년부터 지역통합이 꾸준히 거론됐던 만큼 주민 여론도 무난하다고 판단하나 구리지역의 일부 시민사회 단체에서 자신들의 손익을 따져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자율통합에 대한 정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와 함께 양 시의 정책현안을 해결해 준다면 큰 무리 없이 추진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리시는 남양주와 달리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영순 구리시장은 “최근 3주간 시민대책위원회에서 통합반대 서명운동을 벌인 결과,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인 5만여명이 서명을 하는 등 구리시 측은 통합에 반대하는 데 반해 남양주시가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두 시는 재정자립도가 50%가 되지않고 두 시를 합해도 인구 70만에 불과해 통합의 의미와 효과가 별로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도 역시 구리시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남양주시의 일방적 건의를 행안부와 상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지난 4일 김문수 지사가 통합을 원하는 시·군에서 행안부에 통합을 건의하기에 앞서 상대 시·군과 충분히 협의해 달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한쪽으로 치우친 통합은 향후 지역 내 혼란과 갈등이 커져 더 큰 부작용을 양산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