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하수슬러지 혼합 소각방식 난항

道, 북부지역 해양투기 규제강화 따른 방식변경 추진
각 시·군 민원발생 우려 등 난색… 사업 보류 불가피

경기도가 정부의 해양투기 규제 강화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효율적 처리방안으로 기존 도 북부지역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하수슬러지를 혼합, 소각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려 하지만 각 시·군에서 주민기피시설 설치에 따른 민원 발생을 우려,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향후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시범사업을 통해 현재 설치된 시·군 생활폐기물 소각장의 소각방식을 변경함에 있어서도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사업추진에 앞서 보다 신중하고 정밀한 사전조사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정부의 해양투기 규제 강화에 따라 2011년까지 도 북부지역의 하수 슬러지 해양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오고 있다.

이는 현재 도내에서 발생하는 전체 하수 슬러지(하루 4천644톤)가 25%는 소각처리, 75%는 해양투기를 하고 있는 반면 1일 853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하는 도 북부지역은 90%를 해양투기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도 북부지역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하수슬러지를 혼합, 소각하는 방식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각 시·군에서는 민원 발생을 우려, 사업 추진이 더져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도 북부지역 생활폐기물 소각장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리되도록 설계됐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된 전례가 있다.

특히 파주시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봉투만을 소각하도록 승인받는데 무려 2년이 넘게 걸리는 등 주민들의 인식이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게다가 혼합소각 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하수슬러지를 넣는 방식으로 처리해야 하는데, 현재 도 북부지역의 생활폐기물 소각장 5곳 중 4곳이 스토카 방식(파쇄없이 800~950도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돼 있어 생활폐기물과 하수슬러지가 완전혼합이 이뤄지지 않아 불완전 연소 유발 소지 등 기술적 문제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에 현장방문 및 전문가 의견 청취 등을 통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하지만 처리대상 폐기물 변경시 입지선정위원회의 동의를 얻는 등 주민의 인식을 전환시키기 어려워 이를 해결하지 못할 시 시범 사업의 보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