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내 수출기업단체를 통합해 일괄지원체제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수출기업통합협의회’가 발족됐지만 도 산하기관인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이하 중기센터)와 도내 지역 중앙기관인 중소기업청(중기청), 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간의 알력다툼으로 ‘반쪽뿐인 통합 협의회’로 전락해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로 도내 지역 중앙기관과 도 산하기관 간의 기능적 중복 해소 실패는 물론 양측간 이질감이 깊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2일 중기센터와 중기청, 중진공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기청이 운영하는 기업단체인 경기수출중소기업협의회(153개사)와 중진공이 운영하는 경기수출기업교류회(55개사), 경기서·북부수출중소기업협의회(21개사) 등 2개 기관의 기업단체들이 ‘경기수출기업통합협의회’로 통합됐다.
하지만 이번 과정에서 중기센터가 운영하는 기업단체인 경기도수출기업협의회(370개사)는 통합협의 중 제외됐다.
중기센터가 소속 기업단체에서 통합협의회의 회장직 또는 사무국 구성을 맡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요구하면서 중진공, 중기청과의 마찰이 발생했기 때문.
중기센터는 다른 기관보다 많은 회원사를 보유한 것을 내세웠고 중기청과 중진공은 중앙기관으로써의 권위를 주장, 이견차가 발생하면서 결국 양측간 통합이 무산됐다.
현재 통합 협의회는 중기센터의 기업단체가 제외된 채 회장직의 경우 중기청이 운영하는 기업단체 출신이 맡고 사무국 구성은 중진공 기업단체 출신으로 선출됐다.
이에 따라 당초 통합의 취지인 기관별 유사·중복사업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못한채 중앙기관과 도 산하기관의 수출기업단체로 이원화, 양측간 이질감만 유발됐다.
더욱이 원 주체인 도내 수출기업들은 중앙기관과 도 산하기관 간의 ‘기’ 싸움에 분권화된 비효율적인 지원을 받는 피해를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도내 한 경제단체장은 “중앙기관과 도 산하기관 간의 아무런 이득 없는 알력다툼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수출기업통합협의회가 도내 수출기업들에게 일괄지원 서비스를 목적으로 구성된 만큼 기관들이 협의회 구성에 간섭하는 것보다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