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경기도가 제안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사업이 주민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추진 단계에 들어선 가운데(본보 본보 9월7일자 1면 보도) 졸속 추진 우려가 제기됐다.
컨소시엄에 참가한 민간사업자의 제안서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체 지분 중 도의 지분이 2%에 불과해 사업을 주도적으로 끌고 갈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8일 열린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2009 회계연도 세입·세출 결산 심사’에서 이상기 의원은 “GTX 사업을 주도한다는 경기도가 민간제안서도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노선도 민간이 제안한 것인데 그동안 경기도가 무엇을 보고, 검토했고 향후 추진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서상교 녹색철도추진본부장이 “민간제안서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약 10페이지 분량의 요약본을 보고 충분히 검토했다”고 반박했다.
이와관련, 민경원 의원은 “서 본부장이 KTX 건설에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KTX도 원예산 대비 3배 이상의 비용이 더 투입됐다. 이런 상황임에도 방대한 민간제안서의 구체적 내용을 요약본만 보고 검토해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도의 무책임한 행태를 질책했다.
GTX 건설을 위해 구성한 컨소시엄의 지분율에 대해서도 의원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조광명 의원은 ‘민간투자의 목적은 이윤 창출’이라는 전제 아래 “대표 주관사라는 현대산업개발이 2.2%이고, 산업은행이 79%라는 얘기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라며 “사업 추진과 관련해 철저한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전체에서 2% 수준의 지분을 가진 경기도가 과연 GTX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인지”라는 의문을 표시했다.
이에 서 본부장은 “산업은행의 투자에 큰 우려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 단순히 지분만으로 사업의 주도권을 논하기는 무리가 있다”며, 조 의원의 의문에 이의를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