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확대는 물론 GTX사업의 면밀한 재점검 등을 통한 도정 견제와 이름 뿐인 지방자치를 위한 인사권 독립, 보좌관제 도입에 최선을 다하겠다.”
지난 7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허재안 경기도의회의장은 강력한 도정 견제와 지방의회의 위상 강화를 통한 지방자치 실현을 임기 내 역점사항으로 꼽았다.
허 의장은 우선 “무상급식 확대와 혁신학교 지원 등 교육관련 현안들을 제8대 의회에서 중점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특히 현재 활동 중인 ‘무상급식·혁신학교 추진 특별위원회’를 통해 경기도교육청의 2014년까지 초·중학생 무상급식 계획이 조기에 완료되고, 혁신학교가 공교육 정상화라는 모형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명박 정부가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6·2지방선거를 통해 4대강 사업이 중단돼야 한다는 국민의 요구가 확인이 됐다”는 말로, 자신의 의지를 대신했다.
국가사업에 대한 지방의회의 저지가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의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사업의 부당성을 도민에게 알리고, 추진 반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GTX사업에 대해서는 “13조원이라는 엄청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타당성 검토 등 문제점이 없는지 면밀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며, 무조건 반대가 아닌 철저한 검증을 강조했다.
허 의장은 이름만 남은 지방자치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많다며,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허 의장은 “지방의회제도가 시행된 지 2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모든 권한은 중앙정부와 국회에 집중돼 있다”며 “이름만 지방자치, 지방의회이지 지방에 아무런 권한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은 물론 지방의원 보좌관제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향후 의회 운영에 대해서는 “의원들이 각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도민에게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정책대안 제시 등을 할 수 있는 현장의정 강화에 힘쓸 것”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자치역량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교육·문화·사회·복지증진에 중점을 둬 도민 모두가 잘사는 행복한 경기도 만들기에 매진할 것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