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돼지 지방 조절 유전자 사람 복부 비만 연관성 있어

농진청·서울大 공동 연구 세계 최초 규명
13개 유전자 중 3개 피하지방 원인 밝혀

 

돼지의 지방 두께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사람의 복부 비만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돼 복부 비만의 원인 분석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서울대 김희발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돼지의 등지방 두께를 조절하는 3개의 유전자가 사람의 복부 비만도에도 공통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0일 밝혔다.

농진청은 지난 2002년부터 돼지 집단 분석을 통해 6번 염색체의 특정 영역이 지방형질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확인, 정밀 유전체 해독(18.2Mb) 등을 통해 관련된 13개의 유전자를 찾아낸 뒤 질변관리본부에서 한국인 8천8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복부비만 유전자 데이터와 비교·분석했다.

이 결과 돼지의 등지방 두께를 조절하는 13개의 유전자 중 FAM73A, NEGR1, TTLL7 등 3개 유전자가 사람의 복부와 견갑골 피하지방의 원인 유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3개의 유전자 중 8개는 사람의 신경전달 및 정신 안정과 관련된 유전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는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돼지의 지방형질과 사람의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최초의 시도로 앞으로 사람 비만 질환 연구 및 비만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농진청은 기대하고 있다.

이경태 농진청 동물유전체과 박사는 “돼지 6번 염색체에서 벗어나 전체 유전체를 사람과 비교 분석해 보다 정밀한 비만 관련 유전자를 찾아내겠다”며 “유전자 정보를 향후 돼지 육질형 종돈 유전체 선발에 활용, 양돈산업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생명공학 전문학술지인 ‘PLoS ONE’ 2월호에 게재돼 연구 성과를 인정 받은 바 있으며 오는 7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국제 돼지 의생명연구회(Swine in Biomedical Research Conference)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