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서 올해 전통시장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한 개인 소비자의 비율이 5%에도 미치지 못해 ‘국민 상품권’으로 활성화시킨다는 당초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이는 온누리 상품권 판매액의 56%를 차지하고 있는 새마을금고의 집계 결과를 근거로 한 것으로 그나마 온누리 상품권 운영 기관인 중소기업청은 지역별 구매 현황 등 실태 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중기청과 새마을금고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이달 24일까지 공공기관·사기업 등을 제외한 개인이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한 금액은 약 172억원으로 총 판매액(430억원)의 40.1%를 차지했다.
개인 구매율은 2009년 13.3%에 그쳤지만 약 1년 새 3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광주전남, 부산 등지의 개인 구매율이 80~90%에 육박하는 등 특정 지방의 ‘쏠림현상’에 기인한 것일 뿐 경기,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외면은 심각했다.▶표 참조
새마을금고의 지역별 개인 구매현황(1월~4월24일)을 조사한 결과, 올해 광주전남에서 온누리 상품권이 판매된 금액은 총 76억1천만원으로 이 중 개인 구매가 72억1천만원(공공 및 법인 약 4억원)을 차지, 개인구매율은 94.7%에 달했다.
반면 경기(9천100만원·4.3%)와 서울(7천400만원·2.7%) 지역의 개인 구매율은 5%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중기청은 물론 산하기관인 시장경영진흥원도 이 같은 실태를 파악 조차 못하고 있었으며 새마을금고가 취급은행 중 유일하게 지역적 구매현황을 파악하고 있었다.
중기청 관계자는 “취급은행에서 지역별로는 구매 현황을 파악하지 않고 있어 전국 집계만 분석할 뿐 지역적 구매층의 집계는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온누리 상품권에 대한 판매 동향 및 분석을 더욱 체계화하고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개인의 구매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 수립 등 정책적 보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한 전통시장 관계자는 “수도권과 지방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 개인을 공략하는 세분화된 정책을 추진하기 보다 손쉬운 상대인 지자체와 법인 등에게 상품권 구매를 호소하는 그간의 정부의 홍보 패턴이 드러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