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잠정 발효되는 한-EU FTA를 앞두고 도내 수출기업 절반 이상이 별다른 대응책을 준비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돼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본부는 경기도, 중소기업진흥공단 등과 합동으로 도내 기업 52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FTA 활용실태조사’ 결과, 도내 기업 중 58.7%가 아직 FTA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특히 이들 미활용 업체의 53.7%가 ‘FTA 대응을 위해 어떠한 형태의 준비조차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회사와 연관이 있으나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33.3%로 가장 높았다.
FTA를 준비하는 과정 중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응답기업의 39.9%가 ‘FTA특혜관세 활용방법 및 절차가 복잡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원산지 증명작성 및 입증서류의 확보’(27.8%) ‘FTA 체결국에 대한 시장정보의 확보’(12.7%) 등의 어려움이 뒤를 이었다.
FTA 활용 극대화를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시급히 시행해야 할 지원책으로는 52.7%가 ‘원산지 증명서 발급 등 서류 및 절차 간소화’가 시급하다고 답했고, 이어 ‘FTA와 관련된 전문가의 컨설팅’과 ‘기업의 FTA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각각 32.1%, 6.5%를 차지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내기업들이 절차 등의 복잡성 때문에 FTA 활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경기 FTA활용지원센터를 비롯한 도내 지원기관들과 공동으로 원산지 증명 절차 등에 대한 교육, 전문가 컨설팅 등의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