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미경(수원 권선) 의원은 11일 오전 국회에서 ‘수원비행장 이전 민간연구용역 착수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국방부 및 용역업체 착수 보고자료를 공개했다.
보고자료에 따르면 국방부 및 용역업체는 내년 6월까지 기초자료 수집, 개발계획수립 등의 단계별 절차를 거쳐 최소 3개 후보지 및 다수의 예비후보지를 선정해 정밀검토 및 분석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군 작전능력, 경제성, 환경 등 최적의 입지 및 개발방안을 선정해 종합평가를 수행하고 2012년 9월에 최종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특히 용역은 군 항공작전의 여건 충족이 가능한 기지건설 후보지 조사, 입지 선정시 객관적인 평가기준에 의한 후보지별 장·단점 비교분석, 군 작전운영을 고려한 최적시설, 소음 및 고도제한 등 발생가능한 지역민원을 차단하도록 적정 부지면적 산정, 지역주민과의 상생, 친환경적 시스템 고려한 배치계획 수립 등을 연구목표로 진행될 방침이다.
앞서 정 의원은 국방부 및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지난해 군용비행기 소음으로 인한 배상액이 1천382억원, 올해는 3천700억원이 넘는다”며 “국방예산이 소송 배상금으로 많이 지출되는 상황에서 안보를 튼튼하게 하면서 지역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결국 군용비행장을 전략적으로 재배치하는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방부와 공군 측은 “군도 비행장 이전에 대해서 가능하면 대도시를 벗어나 인적이 드문 곳으로 가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수원비행장 이전을 위한 연구용역 위원으로서 정 의원의 아이디어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용역 착수 설명회에는 국방부 군사시설기획관, 공군본부 전략기획참모부 실무책임자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대표들이 대거 참석해 비행장 이전 추진방향 등 의견을 나눴다.
정 의원은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 해결에 이어 이제 장기적으로 안보와 지역주민을 위해 수원비행장 이전을 추진하게 됐다”면서 “적절한 수원비행장 이전 부지를 반드시 찾아내 군과 지역주민 모두 만족할 수있는 대안들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