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올 한해를 일자리 창출의 원년으로 삼아 지역에 많은 일자리와 민생경제 살리기에 역점을 두겠다고 해놓고도 고양국제특산물 페스티벌 행사 등을 치르면서 사업비의 60% 이상을 타 지역업체와 수의 계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양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의 경우 17억원 규모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사업을 실시하면서 스텐드 작업대 구입 110만 원을 제외한 대부분을 타 지역업체로 선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양시의회 김윤숙(국민참여당) 의원은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해보니 ‘어떤 행사를 하는 것은 단기성 행사도 있지만 거시적인 개념으로 봐야하고 지역경제를 너무 시만 생각하지 않고 함께 윈윈하는 상호 교류라고 생각한다’는 답변이 돌아와 실망했고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5억여원을 들여 고양국제특산물 페스티벌을 치르면서 시가 직접 집행한 행사시설비, 민간행사보조, 행사운영비 3억원 가운데 약 60%인 1억8천여만 원을 타 지역업체와 수의계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페스티벌 행사와 관련 고양농수산물유통센터로부터 2억여원의 지역환원금을 받아 홍보비 등으로 지출했으며 페스티벌 성과로 국내 판매 약 109억, 부가가치 유발 132억, 고용유발 541명, 관람객 37만 명 등 시를 알리는데 기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의원은 어느 지역과 어느 업체의 매출증진, 부가가치, 고용유발을 했다는 것인지 알 수 없고 화훼 계약판매액 94억을 제외해도 5억원을 들여 청소관리까지 해주면서 참가업체들(타 지역 포함)에게 임대료조차 받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고양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는 지역환원 적립금 17억 원으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사업을 하면서 110만원의 스텐작업대 구입을 제외하고 대부분 타 지역업체에게 사업을 맡긴데다 단순한 조경, 사인물 설치사업이나 가구 구입까지 서울·인천·양주 등에 있는 타 지역업체가 휩쓸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