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대대적인 쇄신풍이 광폭 행보로 이어지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물갈이 공천’의 인물 쇄신뿐 아니라, ‘보수’ 삭제라는 정강정책 변경과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대해서도 발빠르게 검찰수사를 의뢰하는 등 정책쇄신과 정치쇄신까지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으로 거침없이 내달리고 있다.
비대위 산하 정책쇄신분과위는 5일 당의 뼈대인 정강·정책 개정안을 마련했다.
통일시대에 대비, 유연한 대북기조를 정강·정책에 반영하고 시대변화에 맞게 국민의 정치참여, 소통, 가족의 안전과 행복 등 가치를 담으면서 양극화 해소를 위해 공정경쟁·경제정의도 포함시키는 개정 방향을 정했다. 당장 총선공약을 통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이날 정치쇄신 차원에서 고승덕 의원이 폭로한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대해 전격 검찰에 수사를 의뢰, 정치권에 거센 파장을 낳고 있다.
이날 고 의원이 ‘18대 국회에서 치러진 한 전당대회에서 전직 대표 중 1명이 돈봉투를 돌린 적이 있다’고 폭로한데 대해 황영철 대변인은 “비대위는 잘못된 정치문화의 쇄신을 위해 이 문제를 검찰에 수사의뢰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당법 위반에 해당하는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대해 내부비리 제거와 국민의혹 해소 차원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고 나섰다.
인적쇄신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고령·다선의원 용퇴론’, ‘현정부 실세 의원 용퇴론’, ‘친박 솔선수범 희생론’ 등이 제기되면서 다음달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에 앞서, 이달 중에 일부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도 잇따를 전망이다.
하지만 당내 반발도 만만치 않다.당장 정강·정책의 ‘보수’ 용어 삭제를 놓고 친이·친박 및 대권주자까지 나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참보수 운동을 해야지, 왜 보수를 삭제하느냐. 이러면 당 정체성이 사라져 보수도, 진보도 아니게 된다”고 비판했다.
과감한 인적쇄신을 주장하고 있는 김종인·이상돈 비대위원에 대한 친이계의 퇴진 요구도 계속되는데다 특히 정강·정책에서 보수 표현 삭제를 주장한 김 비대위원에 대해서는 사퇴압박도 커지는 등 당내 반발이 격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