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현역 지역구 의원 25%를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고, 지역구 공천은 개방형 국민경선(80%)과 전략공천(20%)을 혼용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비대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천기준안을 마련했다.
비대위는 여론조사를 거쳐 지역구 의원의 경쟁력(50%)과 교체지수(50%)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마련한 뒤 하위 25%의 현역의원을 공천 배제자로 분류키로 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지역구 의원 144명 가운데 불출마를 선언한 8명을 제외한 136명 중 34명은 공천을 신청하지 못한다.
비대위는 또 전체 지역구 245곳 가운데 80%(196곳)는 개방형 국민경선, 나머지 20%(49곳)는 전략공천으로 후보자를 선발하고 야당에 개방형 국민경선 동시 실시를 위한 협상을 제안하기로 했다.
개방형 국민경선 선거인단 비율은 책임당원 20%, 일반국민 80%로 구성된다.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지역구 30%를 할당하고 경선시 본인의 득표수에 비례해 신인과 전·현직 기초의원은 20%, 전·현직 비례대표 국회의원·당협위원장·광역의원은 10%의 가산점을 부여키로 했다.
다만 전·현직 여성 지역구 국회의원이나 기초자치단체장에게는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고, 여성끼리 경쟁할 경우 가산점이 없다.
비례대표는 전략영입(75%)과 국민배심원단(25%) ‘투트랙’ 방식으로 지역구 공천에 앞서 공천을 먼저 하고, 국민배심원단은 전문가 50인과 국민·당원 공모 50인 등 총 100인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비대위는 특히 도덕성 검증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공천 부적격 사유에 현행 당규(9조)에 규정된 11가지 외에 ▲세금포탈, 탈루, 부동산 투기, 성희롱, 강제추행 등으로 물의를 빚거나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자 ▲성범죄, 뇌물수수, 불법정치자금 수수, 경선부정행위 등 이른바 4대 범죄자를 추가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돈봉투’ 방지 및 클린선거를 위해 경선관리도 중앙선관위에 위탁키로 했다.
비대위는 그러나 쇄신파가 제안한 중앙당 및 당 대표 선거 폐지를 골자로 한 원내정당화 등 당 구조개혁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으나 사실상 총선전 시행은 불가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한나라당은 이같은 공천안에 대해 17일 의원총회의견수렴과 19일 비대위 의결을 거쳐 설 연휴 직후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본격 공천작업에 돌입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