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6년 만에 당 정강·정책을 전면적으로 개정, 기존의 ‘부자·보수 정당’ 이미지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이름으로 개정되는 새 정강·정책에는 헌법 제119조2항에 명시된 ‘경제민주화 실현’을 지향점으로 내세워 보수적 정책기조에서 벗어나 중도·좌클릭 노선으로 이동했다.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등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지향해온 정책방향도 상당 부분 반영, 본격 대선 행보를 앞둔 박 비대위원장의 복지·성장전략 청사진을 담았고 소외계층 배려를 강조해 ‘부자정당’, ‘웰빙정당’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도 담아냈다.
한나라당은 새 정강·정책 1조에 ‘복지국가’를 지향점으로 내세웠다. 평생맞춤형 복지를 한국형 복지모형으로 설정하고 국민 누구나 생애주기별로 기본적 욕구와 사회보장 혜택을 받을 권리를 보장했다.
특히 ‘성장과 복지가 함께 가는 것이 시대적 과제’라는 점을 명시하고 국정운영의 목표를 ‘일자리’에 두고 경제정책의 핵심지표로 ‘고용률’을 제시했다.
새 정강·정책에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복지국가’ 조항에 ‘아동, 여성,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 탈북자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자아실현의 기회를 갖도록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구축하자’는 목표를 천명했다.
그동안 한나라당에 덧씌워진 ‘1% 부자정당’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사실상 ‘서민정당’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