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수원 장안, 성남 중원, 고양 덕양갑, 이천·여주 등을 비롯해 인천의 남갑과 남동갑·을 등 대상지역 10여곳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예비후보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는 등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현재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오는 25일 전까지 야권연대 협상을 매듭짓는다는 방침아래 물밑 접촉을 벌이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도내 4~5곳, 통합진보당은 7~8곳을 협상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의견을 좁혀가고 있는 상태다.
현재 양당이 야권연대에 관심을 갖고있는 대상지역은 수원 장안을 비롯해 성남 중원, 고양 덕양갑, 광명을, 이천·여주, 분구될 파주와 함께 부천이 협상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인천의 경우 공단지역인 남동갑·을과 함께 남갑 등이 떠오르고 있다.
이같은 야권연대 협상의 대상지역이 수면 위로 부각되면서 해당지역의 현역의원과 예비후보들이 밀실야합이라며 협상내용 공개 및 협상중단을 요구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이찬열(수원 장안) 의원과 박준(고양 덕양갑), 장영기(광명을), 홍헌표(이천·여주), 윤후덕(파주) 지역위원장 등은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직후보자의 선출과정은 밀실야합이 아닌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거세게 항의했다.
이들은 “야권연대 협상의 모든 내용을 투명하게 국민 모두에게 공개하라”며 “후보자 결정방식 역시 ‘국민참여 경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야권연대의 목표는 새누리당과 경쟁해 이길 수 있는 경쟁력있는 야권 단일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며 “특정인과 특정지역을 지정하는 야권연대 협상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기신 민주통합당 인천 남갑 예비후보도 이날 성명을 내고 “근거없는 전략공천설 유포와 나눠먹기식 야권연대는 시대적 소명을 거스르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한 뒤, “자신의 정치적 이해관계만을 위해 근거없는 전략공천을 유권자들에게 유포하고 있어 매우 유감스럽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명숙 대표는 당 공천권보다는 야권연대 협상결과를 우선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심사와 선거인단 모집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권연대 협상이 타결되면 그 결과를 우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양당은 전날 야권연대 협상을 통해 성남 중원과 고양, 인천 남동갑·을 선거구의 야권연대에 대한 합의를 어느 정도 도출했지만, 수원 장안 등 주요 지역과 방식 등을 둘러싼 이견차를 좁히는 데는 결국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