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정권 심판론과 함께 잇따른 여권의 악재가 터지면서 ‘야권 대세론’으로 야당 우위가 점쳐져 왔으나, 개혁공천에 이어 야권연대를 둘러싼 여론조사 조작의혹 및 야권 분열상을 드러내면서 기세가 한풀 꺾여 여야 박빙의 접전지역이 급격히 늘어나는 등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도내 지역구 및 비례대표 선거인수는 전체 인구수의 77.1%인 총 923만9천964명으로 확정됐다. 전국 최다의 선거인수로 남자 460만3천755명, 여자 463만7천442명이며 국내 거소신고를 한 재외국민수는 1만7천489명이었다.
처음으로 실시되는 재외선거의 경우 재외선거인은 2천371명이며, 국외부재자 신고인은 2만7천414명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남자 109만9천635명, 여자는 110만8천177명으로 인구수 대비 78.5%인 총 220만7천812명으로 나타났다.
작성된 선거인명부는 오는 30일까지 열람 및 이의신청 등을 거쳐 4월2일 확정된다.
부재자 투표는 4월5∼6일 이틀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실시되고, 투표용지 발송은 4월2일까지 완료된다.
선거운동 기간 총선 후보자와 배우자(배우자 대신 후보자가 그의 직계 존·비속 중에서 신고한 1인), 선거사무장, 선거사무원, 회계책임자는 어깨띠나 표찰, 기타 소품을 붙이거나 지니고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후보자는 자동차와 이에 부착된 확성장치, 휴대용 확성장치를 이용해 공개된 장소에서 연설과 대담을 할 수 있고, 후보자나 선거사무원이 지정한 사람도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할 필요없이 연설 및 대담을 할 수 있다.
공개 장소에서의 연설 및 대담은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할 수 없으며, 오후 9시 이후에는 녹음기 또는 녹화기를 사용할 수 없다.
휴대용 확성장치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 유권자들도 공개된 장소에서 특정 후보자의 지지를 호소하거나 선거운동 자원봉사자로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재외국민투표는 28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분관을 시작으로 내달 2일까지 107개국, 158개 재외투표소에서 총 12만3천571명의 재외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