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도전에 나선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6일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과거 이사장을 지낸 정수장학회 논란과 관련, “청와대에 들어가기 전부터 의혹이 있다면 들어가고 나서 더 큰 의혹이 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여의도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던 사람도 청와대에 들어가면 많은 의혹이 일어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김 지사는 또 “우리 사회에는 부와 권력 세습에 대한 거부반응이 많다. 권력 획득과정이 정당하지 않은 부분도 있고 (재산)축적과정도 정당하지 않아 그런 부분이 있다”면서 “이 시대가 통합의 리더십을 원하는데 세습 리더십으로는 통합에 약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세습 리더십’의 문제점을 거듭 제기했다.
이에 앞서 김 지사는 지난 4일 도청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월례조회에서 “부모를 잘 만나서 잘 나가는 세습 리더십보다는 역경을 딛고 헤쳐나가면서 서민의 삶 구석구석을 이해하는 서민적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예로 들며 ‘부모 잘 만난’ 세습 리더십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아울러 “대통령 측근 부패·비리를 없애려면 대통령 권력을 분산시키고 권력에 대한 감시장치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컴퓨터 마우스패드에 ‘청렴영생 부패즉사’라는 슬로건을 달아놓고 생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 수석제 폐지, 대통령·장관 직접 협의, 총리권한 강화, 국회의원의 장관 겸직금지, 대통령 국회출석 정례화, 대통령 직속 부패척결위원회 설치 등의 공약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날 대권도전 선언 후 처음으로 수원에서 ‘1일 택시기사’ 체험에 나섰다. 그는 과천경마장에 가는 손님을 태우고 1만7천원을 벌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