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 사건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다.
새누리당 당원 220만명의 명부를 건네받은 문자발송업체가 지난 4·11총선 당시 새누리당 총선후보 29명의 문자발송과 전화홍보업무 등을 대행한데 이어, 민주통합당의 서울·경기지역 당선자 20여명도 계약을 체결해 문자발송업무를 대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새누리당의 총선후보 29명 중 10명은 경선을 통해 공천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공천과정부터 이 업체의 도움을 받았을 개연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0명중 5명은 낙선하고 5명은 당선됐다.
이같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19대 총선에서 낙천한 새누리당 전직 의원 10명은 21일 공동성명을 내고 당원명부 유출 사건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에 대한 책임론까지 제기하고 나섰다.
해당 업체로부터 당원명부를 건네받은 것으로 확인된 이채익(울산 남갑) 의원과 충북 청주 흥덕을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김준환 후보도 이 업체와 문자발송 등 선거업무 위탁계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검찰수사를 통해 공천과정에서 당원명부가 활용된 것으로 드러날 경우 해당지역 낙천자들의 ‘불공정 경선’ 주장은 차치하고라도 사전선거운동에 따른 선거법 위반 소지가 제기될 수 있어 파장은 더욱 커진다.
당내에선 이번 사건이 당의 쇄신노력에 찬물을 끼얹으면서 대선 가도의 대형 악재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당장 4·11총선에서 낙천한 도내의 이사철·이화수·정미경 전 의원과 최병국·안경률·진수희·강승규·권택기·신지호·이은재 전 의원 등 10명은 공동성명을 통해 “당원명부가 접근권도 없는 한 내부자에 의해 손쉽게 불법유출될 정도로 부실 관리되었다니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더욱 충격적인 것은 당원명부가 총선 공천에 악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문제가 심각한데도 당 지도부는 사건축소를 통한 의혹덮기에 급급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당원명부 유출의 관리책임이 있는 박근혜 당시 비대위원장과 권영세 사무총장의 침묵은 정치적 도리가 아니며, 지금이라도 국민과 당원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사건 진상조사팀장인 박민식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여야 구분없이 상당수 입후보자가 4·11총선 당시 이 업체를 이용했고 특히 서울·경기지역만 해도 20여명의 민주통합당 당선인도 이 업체와 계약을 체결, 문자발송업무를 대행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또 “만일 박 원내대표의 말처럼 ‘새누리당 당선자 5명이 이 업체를 이용해 문제가 있으므로 사퇴해야 한다’는 논리라면 이 업체를 이용한 20여명의 민주당 당선자도 자진사퇴해야 한다”면서 “이 문자발송업체를 활용했다는 사실만 갖고 사퇴해야 한다면 정말 정치적 공세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