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가 16일 ‘대권 도전설’에 대해 “정치인으로서 꿈이야 있지만 지금은 경기도지사로서 정치적 법적 책임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밝혀 대권 도전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 관련기사 2면
남 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한국정치학회 주관으로 열린 ‘20대 국회, 협치 가능한가’ 세미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다양한 이해를 대변하라는 것이 총선의 민의라면 국회 임기 첫해에 선거법 개정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며 “이것을 달성하면 협치 모델을 만드는데 중요한 행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남 지사는 토론회 축사에서 청년실업, 저출산, 저성장과 북핵문제, 통일 등 국가적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정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연정 2기 과제로 예결위의 상임위화, 경기도 안에서의 내각제 실행, 연정의 제도화를 꼽았다.
남 지사는 “이번 총선의 뜻은 어려운 국가적 난제들을 힘을 합해서 해결하라는 뜻”이라며 “청년실업, 저출산, 저성장,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북핵문제와 통일문제 이렇게 우리 모두가 힘을 합해도 해결이 될까 말까한 일들은 우리 내부가 갈라져 있어서는 해결할 수가 없다”며 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2기 경기연정 과제로 예결위의 상임위화, 지방장관형태의 무보수 명예직 신설과 경기도 안에서의 내각제 실행 등을 꼽고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 지사는 “정말 중요한 것은 지금 연정이 제도가 아닌 정치적 합의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라며 “제대로 된 연정, 협치를 위해서는 법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오늘 토론 내용을 토대로 국회에서 제도를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정치학회가 주관하고 경기도가 후원한 이날 토론회에는 새누리당에서 정병국(여주·양평)·김영우(포천·가평) 의원, 김성원(동두천·연천) 당선인, 더불어민주당에서 박병석(대전 서구갑)·원혜영(부천 오정)·김태년(성남 수정) 의원, 김두관(김포갑)·김종민(충남 논산·계룡·금산) 당선인, 정장선 전 의원, 국민의당에서는 박지원 원내대표가 참석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