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북한, 2020년 말까지 핵무기 79개 제조가능”

세종硏 본부장, 세미나 주장

북한의 핵물질 보유량을 고려하면 오는 2020년까지 최대 79개의 핵무기 제조가 가능하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1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외교안보분과 공개세미나에 앞서 배포된 ‘북한 비핵화 관철을 위한 추진전략’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발표문에 따르면 현재 북한이 보유한 플루토늄(Pu)은 최대 50㎏, 고농축우라늄(HEU)은 300㎏ 내외다.

이 본부장은 북한의 핵물질 보유량 추산치를 근거로 “연간 4~8개 소형 핵무기 제조가 가능하다”며 “2020년 말까지 최대 79개”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핵 개발은 장기적으로 비합리적이나 단기적으로는 합리적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장기적으로는 경제 분야 투입 자원이 줄어들고 국제적 고립이 심화하는 데다 자원의 적재적소 투입도 제약되기 때문이다.

단기적으로는 가용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핵 개발을 통해 군사비 지출의 효율을 높이고, 남한의 선택 가능 전략을 안전전략에 국한해 북한에 유리한 균형에 도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본부장은 “(북한 김정은 정권이) 장기적으로 북한 정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알면서도 단기적으로 군사비 지출 효율을 높이고 북한 주민의 자존감을 높이는 데다 (주민) 충성 유도에도 효율적인 핵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춘원기자 lcw@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