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꿈의 전자파’를… 국내 연구진 일냈다

아주대 권오필 교수·KAIST 이상민 교수
광대역 테라헤르츠파 원천소재 개발 성공
의료·보안·환경 등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

 

국내 연구진이 고출력 광대역의 ‘꿈의 전자파’로 불리는 전자기파의 일종인 테라헤르츠파(THz) 광원 개발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아주대학교는 11일 권오필 아주대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와 이상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물리학과)가 진동을 억제하는 분자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고출력 광대역의 테라헤르츠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원천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소재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매터리얼즈’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테라헤르츠파는 빛의 영역과 전파의 영역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가지의 특성을 동시에 띄는 독특한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의료와 보안, 환경,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분자 간 진동을 억제한 유기소재를 활용, 테라헤르츠파 재흡수를 막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테라헤르츠 광원 소재에 비해 20배 이상의 강도를 내는 광대역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다.

권오필 교수는 “일반적인 광학, X-레이 기술과는 차별화되는 테라헤르츠 공학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고출력 광대역 테라헤르츠 광원소재의 부재로 다양하게 활용하기 어려웠다”며 “스펙트럼의 공백이 크게 감소된 고출력 광대역 테라헤르츠 광원소재를 위험물 분석, 의료 진단, 환경 감시 등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