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문인협회 성명서 발표
“광교산 주민들 생계 해법 찾고
수원인문학도시 부응 계기 되길”
갈등촉발 원인 제공 환경부
결자해지 요구 목소리 거세져
<속보> 환경부가 광교비상취수원 해제 실질권한 행사에도 불구, 떠넘기기식 비정상적인 행정행태로 일관해 우려했던 민·민·관 갈등 심화속에 ‘고은 시인 거취 논란’ 등 수원시의 수년간에 걸친 ‘인문학대표도시 만들기’ 노력이 물거품될 위기에 처하면서 환경부 책임론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본보 5월 10·11·15·17·25일자 1·18면 보도) 수원시민들의 ‘고은 시인 지키기’와 환경부의 결자해지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수원문인협회는 30일 오전 수원문학인의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은 시인에 대한 수원문학 공식입장’을 통해 “고은 시인을 수원에서 떠나게 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협회는 고은 시인이 떠나면 안되는 이유로 ▲노벨문학상 유일후보가 수원시민인 고은 시인 ▲고은 시인으로 인해 수원시가 인문학도시로서 명실공히 세계 속으로 비상 ▲고은 시인의 문학공간인 수원 광교산이 세계적 문화유산인 화성과 함께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의 대두 등을 꼽았다.
협회는 “한국문단을 넘어 세계문학의 명명을 이끄는 고은 시인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한 개인은 넘어 한국문학 전체에 상처를 주는 일”이라며 “광교산 주민들의 생계와 삶의 갈등이 원만한 해법을 찾아 수원인문학도시에 부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고인 시인을 모시고 시인께서 그 역량을 다시 한 번 모아 수원에서 노벨문학상을 받는 대한민국 최초의 인문학 도시를 만들자”고 강조했다.
앞서 수원시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도 성명서를 내고 “문학계 거장 고은 시인을 이렇게 허망하게 떠나 보내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고은 시인이 수원을 절대 떠나선 안 된다는 시민들의 요청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이런 성명이 더 발표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수도정비기본변경계획(안) 등을 환경부 승인 없이 시장 등이 지정·해제하자는 것은 행정절차 무시와 규정위반으로 지자체는 절차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민민갈등과 고은 시인 거취 논란 등의 지역 일은 지역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실질권한 행사에 이은 수원시에 책임떠넘기기로 일관, ‘갈등촉발 원흉’이란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수원시를 찾은 조경규 장관이 정작 광교비상취수원 방문은 커녕 언급조차 없이 비점오염원 관리시설만 방문하고 돌아가 생색내기 불통행정이란 비난여론마저 들끓고 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