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불아여(歲不我與)라 했던가. 시간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 것 처럼 어느덧 추석이 목전이다. 이맘 때면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들이 생각난다. 과거 추석 전날의 정겨운 만남도 기억나고. 송편에 대한 추억도 아련함이 더해진다. ‘추석 전날 달밤에 마루에 앉아/ 온 식구가 모여서 송편 빚을 때/ 그 속 푸른 풋콩 말아넣으면/ 휘영청 달빛은 더 밝어 오고/ 뒷산에서 노루들이 좋아 울었네./저 달빛엔 꽃가지도 휘이겠구나!”/ 달 보시고 어머니가 한마디 하면/ 대수풀에 올빼미도 덩달어 웃고/ 달님도 소리내어 깔깔거렸네./ 달님도 소리내어 깔깔거렸네.’미당 서정주의 시 ‘추석 전날 달밤에 송편 빚을 때’ 처럼. 추석 대표 음식인 송편의 원래 이름은 ‘오려송편’이다. ‘오려’란 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올벼를 뜻한다. 송편이란 이름은 떡 사이에 솔잎을 깔고 찐다는 의미로, 소나무 송(松)과 떡 병(餠)을 붙여 부르던 데서 유래했다. 송편에는 햅쌀과 솔잎 향이 함께 배어 있다. 하지만 도시의 경우 요즘은 송편을 직접 만드는 가정은 거의 없다. 음식도 마찬가지다. 1·2인 가구가 늘고 ‘명절은 쉬는 날’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생긴 변화다. 온라인쇼핑몰의 설문조사 결
죽음에 이르는 병 /강성은 마당을 가져본 적 없는 아이들이 개와 놀고 있다. 주방을 가져본 적 없는 부인이 그릇을 닦고 있다. 집을 가져본 적 없는 사람이 눈 덮인 산에 불을 지른다. 어느 날 잠긴 서랍을 열어보고 어두운 쥐구멍에 손도 넣어보고 잠 못 이루는 밤이면 눈먼 새소리를 흉내 내며 우는 사람들 먼 나라에서는 나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나와 다른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르지 울음을 그치고 잠들면 데리고 놀던 개에게 물려 병에 걸리는 시간이다. 덴마크의 철학자 키에르 케고르는 그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철학서와 동명의 제목을 가진 이 시는 마당을 가져 본 적 없는 아이들과 주방을 가져본 적 없는 부인과 집을 가져본 적 없는 사람이 등장하고 각각 개와 놀고 그릇을 닦고 눈 덮인 산에 불을 지른다. 가질 수 없는 것을 흉내 내다 결국은 그 허무함에 스스로를 절망케 하는 이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건 오직 꿈을 꿀 수 있는 잠 뿐이고 결국 잠이 든다는 건 죽음을 경험하게 하는 시간일 뿐이다.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오직
수원시 ◇5급 승진 ▲체육진흥과 김근태 ▲환경정책과 김도형 ▲도시개발과 김신교 ▲회계과 김영민 ▲예산재정과 김인배 ▲도시계획과 김종연 ▲홍보기획관 김진백 ▲감사관 남기민 ▲노동정책과 박환식 ▲복지협력과 송효실 ▲정책기획과 이소희 ▲정책기획과 이일희 ▲의정담당관 조원섭 ▲장애인복지과 윤영숙 ▲사회복지과 황선미 ▲선경도서관 황정숙 ▲기후대기과 강서용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과 박인석 ▲보건행정과 우태옥 ▲체육진흥과 유병기 ▲도시계획과 정규훈 ▲건설정책과 최대우 ▲건축과 김병기
음주운전을 하다 사망사고를 낸 사람에게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도록 단속 기준과 처벌을 강화하는 도로교통법, 이른바 ‘윤창호법’이 지난해 12월 개정됐다. 여기에 더해 올해 6월부터는 음주운전 기준을 크게 강화한 ‘제2윤창호법’까지 도입됐다. 제2윤창호법은 음주운전 처벌기준을 강화시켰다. 처벌도 상향됐다. 제2 윤창호법이 시행된 지 두 달이 지났다. 법 시행 이후 음주운전 사고 건수는 줄었다. 경찰청은 제2윤창호법이 시행된 지난 6월 25일부터 8월 24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음주운전 교통사고 건수는 1천97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2% 감소했고, 음주운전 단속 적발건수도 30.9% 줄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1명이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면 65% 급감한 것이다. 그렇지만 음주운전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최근 가슴 아픈 음주운전사고는 지난 7일 술 취한 상태에서 트럭을 몰고 귀가하던 아들이 전동휠체어를 타고 마을 입구까지 자신을 마중 나온 어머니를 치어 숨지게 한 일이다. 아들이 밤늦도록 집에 돌아오지 않자 걱정이 된 어머니가 전동휠체어를 타고 집에서 수백미터 떨어진 마을 입구까지 마중을 나갔다가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가 국내 최초로 ‘분양 아닌 임대 방식’으로 중산층 임대주택 시범 모델을 광교신도시에 선보이기로 했다. 이헌욱 경기도시공사 사장의 입을 통해서다. 이 사장은 10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경기도형 중산층 임대주택 시범사업 모델’을 발표했다. 임대는 분양과 달라 부동산 경기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발주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때문에 침체된 건설경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정부의 임대 주택 확대 정책에도 부합한다는 당위도 내세웠다. 그리고 ▲주거에서 이용으로 ▲분양에서 임대로 ▲단순임대에서 주거서비스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대라고 역설했다. 여기에 “임대를 고민하는 소비자의 주거 선택권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한발 더 나아갔다. 주택이 부의 상징이었던 시대와 결별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환영한다. 주택이 주거의 개념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번 사업이 도입된 배경은 과도한 대출로 인한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 분양주택시장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이를위해 분양주택 부지를 임대주택으로 활용해 조성한다. 그동안 소수에게 혜택을 주는 로또분양과 투기조장 등의
훨덜린을 읽는 밤 /엄하경 훨덜린이 깨어 있는 신성의 밤에 널브러진 나의 시를 본다 시인이 시를 쓰지 않는 건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그가 말한다 네카 강변 돌계단 틈에 피어 있는 작은 제비꽃 그 반짝이는 詩앗이 올려다 보며 말한다 그냥 바라보기만 해도 짠하고 아! 탄성이 절로 나오는 그 한 순간이 시라고 보태지 말고 에두르지 말고 보이는 대로 가슴에 닿는 대로 조용히 받아 적기만 하라고 이 궁핍한 시대에도 시인의 직무는 다만 시 쓰기라고 누군가 밤에 홀로 깨어 훨덜린을 읽는다. 시인의 숭고하고 내밀한 언어와 혁명기 유럽의 궁핍하고 암울한 고통을 읽는다. 그리고 시인이 감내해야 했던 통각에 직접적으로 닿았을 때, 그 누군가는 비로소 ‘훨덜린-되기’를 실현한다. 그는 그가 ‘신성의 밤’이라 말한 것은, 훨덜린 시가 발산하는 뚜렷한 의미들과 시대상이 자신의 내면을 관통했기 때문이다. 훨덜린은 “어둠의 나라가 거대한 폭력으로 도래한다면, 우리는 책상 위의 펜을 집어던지고, 신의 이름으로 거대한 고난의 장소로 향해야 하리라. 그곳이 우리를 가장 필요로 할 테니까”라고 ‘빵과 포도주’
시사만화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시사적 주제를 다루는 만화다. 일반적으로 신문에 연재되는 시사만화는 대상인물의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인물화인 ‘캐리커처’와 사회현실을 풍자하는 한 칸 만화인 ‘카툰’, 네 컷 이상의 ‘코믹 스트립’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캐리커처는 프랑스 근대 풍자 만화가인 ‘오노레 도미에’등에 의해서 개척된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19세기 비리와 뇌물 등으로 얼룩진 법조계를 비판하고 정부와 중산층의 허구성을 풍자한 인물화로 유명세를 떨쳤다. 카툰은 일반적인 한 컷 만화를 지칭한다. 한 컷 만화와 함께 한때 신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던 것이 네 컷 만화다. 세계적으로 유명한것이 미국 사사만화 ‘블론디(Blondie)’다. 1930년 칙 영(Chic Young)에 의해 4컷 신문 연재만화로 탄생한 이래 1973년 칙 영이 사망한 후에도 아들 딘 영(Dean Young)에 의해 계속 그려졌다. 2000년대 중반까지 전 세계 70여 개국에서 2500여 개 신문에 연재될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미국 대공황으로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불황의 늪에서 허우적대던 사람들은, 당시 막 연재되기 시작한 ‘블론디’를 보며 잠시 그 시름을 달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