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천시 '주민소환'만 두 번 추진…전국 유일
시장·도지사·군수 등 선출직 지방공직자의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의 투표로 파면을 결정할 수 있게 한 제도인 ‘주민소환’. 과천시에서 시장 주민소환을 추진한 건 이번이 두 번째다. 2011년 여인국 과천시장도 주민소환 대상이 됐다. 2007년 주민소환 도입 이후 14년간 10여 건의 소환투표가 진행됐는데, 지자체 중 두 번 추진된 곳은 과천이 유일하다. ◇ 주민소환 '두 번' 과천시가 전국 유일 여인국 시장 소환 추진 당시에는 전체 청구권자의 정해진 투표율을 넘지 못해 개함하지 못했고, 김종천 시장의 서명은 현재진행중이다. 김 시장의 소환투표 의결이 가능할 지는 6월 경 결론이 날 전망이다. 여인국 시장 때 갈등이 촉발된 원인 역시 ‘부동산’이다. 2011년 11월 지식정보타운에 보금자리주택 지정 수용을 놓고 일부 주민이 반발했다. 하지만 시와 주민 모두 실익은 전혀 없었다. 2011년 당시 과천시는 3억5200만원의 투표 비용으로 썼지만, 소환은 불발되고 정부 계획은 그대로 확정됐다. ◇ 혈세 낭비·정치적 악용·지역 갈등 유발 우려 앞선 주민소환 추진 당시에는 “혈세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면치 못했다. 더불어 관련법이 소환 투표의 청구와 효력에 대해서만 규
- 노해리·김기현 기자
- 2021-02-05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