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 사건 공소장 전문의 국회제출을 거부했다는 것이 알려지며 파장이 일고 있다. 법무부는 비공개 결정에 이유에 대해 “국회의 공소장 제출 요청에 대해 형사피고인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사건관계인의 명예 및 사생활 보호, 수사 진행 중인 피의자에 대한 피의사실공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소장 원문을 제출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그런데 이런 주장이 그다지 설득력이 없는 이유는 이렇다. 먼저 공소장 공개는 2005년 5월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의한 조치였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공소장 공개의 이유로 수사 과정을 투명하게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국민의 알 권리보다 앞서는 것은 없다는 취지였다. 그런데 형사피고인의 공정한 재판 받을 권리와 사건관계인의 명예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공소장 공개를 거부한다면, 결국 노무현 대통령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나 피의자 명예 그리고 사생활 보호와 같은 것은 안중에도 없던 대통령이 되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이런 것이 만일 개혁의 일환이라고 주장한다면, 노무현 대통령은 반(反)개혁적 인물이 되는 셈인데, 노무현 대통령을 반개
미국이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 거셈 솔레이마니를 제거했다. 해당 작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행정부는, 솔레이마니가 미국에 대한 테러를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위적 차원에서 솔레이마니를 제거했다고 밝혔다. 이런 미국 측의 주장에 대한 사실여부는 우리로서는 알 수 없다. 미국에 대한 실제 테러 위협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외부적 위협의 강조가 미국 국내정치적으로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역시 중요하다. 탄핵 과정에 있는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외부의 위기를 적절히 이용해, 위기 탈출의 국면을 만들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2차 대전 이후 미국 대통령들의 지지율 변화를 살펴보면, 외부적 위기가 존재할 때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급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미국 갤럽 기준으로 보면, 역대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80%를 넘은 적이 세 번밖에 없는데, 그 세 번 모두 외부적 위기와 관련 깊다. 즉, 쿠바 미사일 위기, 걸프전 그리고 9.11 테러 때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80%를 넘어섰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트럼프로서는 이런 외부적 위협 요인을 강조함으로서 자신에 대한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의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