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정권수립일(9·9절)을 앞둔 8일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방문객들이 망원경으로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를 살펴보고 있다.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8일 이동 차량이 늘면서 고속도로 일부 구간에서 정체가 시작됐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은 한남∼서초, 신갈분기점∼수원, 천안나들목 등 32㎞ 구간에서 차들이 시속 40㎞ 미만으로 달리고 있다. 서울 방향은 한남∼산적교, 안성나들목 등 33㎞ 구간에서 정체를 빚고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산 방향은 송내∼중동, 김포요금소∼자유로나들목, 남양주∼강일 등 총 16㎞ 구간에서 차들이 서행하고 있다. 구리 방향은 성남요금소∼송파, 계양∼서운분기점, 중동∼송내 등에서 시속 36㎞로 서행 중이다. 서해안 고속도로 목포 방향은 조남∼안산, 비봉나들목 부근, 서평택나들목 부근 등 총 31㎞ 구간에서, 서울 방향으로는 일직∼금천 등 총 6㎞ 구간에서 답답한 흐름을 보인다. 정오 기준으로 서울요금소에서 전국 주요 도시까지 걸리는 시간은 부산 5시간 30분, 울산 5시간 10분, 대구 4시간 30분, 목포 4시간 30분, 광주 4시간 20분, 대전 2시간 50분, 강릉 2시간 10분이다. 정체는 오후 2시께로 접어들며 전국적으로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내년 저소득층과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에 74조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지원 대상은 일부 중복을 포함해 2천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정부는 8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예산 4대 핵심 과제'를 논의했다. ◇ 4대 핵심과제에 74.4조원 투입…8.7조원↑ 기재부에 따르면 정부는 저소득층, 장애인, 취약 청년, 노인·아동·청소년 지원을 내년 예산의 4대 핵심 과제로 지정했다. 4대 핵심 분야 예산은 정부안 기준 74조4천억원으로 올해(65조7천억원) 대비 8조7천억원(13.2%) 늘었다. 지원 대상은 중복분을 포함해 총 2천100만명으로 추산됐다. 정부는 "내년 중앙정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원 9조원 중 대부분을 핵심 과제에 투자했다"고 강조했다. ◇ 복지 사각지대 막는다…재산기준 완화·중위소득 최대폭 인상 분야별로 보면 저소득층(368만명) 지원에 21조2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정부는 우선 기초생활 수급 탈락에 따른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생계·의료급여 재산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현재 생계급여를 받기 위한 주거 재산 한도는 대도시 기준으로 1억2천만원, 의료급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9일 방한하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을 접견할 예정이라고 8일 대통령실이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같이 밝힌 뒤 "한미관계 강화 방안을 비롯해 북한문제, 경제안보, 주요 지역 및 국제현안 등 상호 관심사에 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부통령의 방한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2월 마이크 펜스 당시 미국 부통령의 방한 이후 4년 6개월 만이다. 또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식 방한 이후 약 3개월여 만이기도 하다. 대통령실은 "이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미동맹 강화에 대한 양국 정부의 굳건한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백악관은 해리스 부통령이 이달 25∼29일 한국과 일본을 방문한다고 백악관이 7일(현지시간) 밝혔다. 해리스 부통령은 먼저 일본 정부가 오는 27일 거행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의 국장에 미국 정부 대표로 참석한다. 일본 방문 뒤에 한국을 방문하는 일정이다.
김홍선 감독의 신작 '늑대사냥'이 해외 41개국에 선판매됐다고 배급사 TCO더콘텐츠온이 7일 전했다. '늑대사냥'은 오는 21일 국내 개봉을 앞두고 미국과 일본·스페인·대만·태국·러시아 등에 판권이 팔렸다. 북미에서는 다음 달 7일로 개봉일이 잡혔다. '늑대사냥'은 동남아로 도피한 인터폴 수배자들을 국내로 송환하는 호송선 프론티어 타이탄호 안에서 벌어지는 서바이벌 액션이다. '공모자들'(2012)과 '기술자들'(2014) 등을 연출한 김홍선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서인국·장동윤·성동일·정소민·고창석·장영남 등이 출연한다.
걸그룹 블랙핑크의 정규 2집 선공개 곡 '핑크 베놈'(Pink Venom)이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2주 연속 정상에 올랐다. 6일(현지 시각) 빌보드의 온라인 차트 예고 기사에 따르면 '핑크 베놈'은 1억840만회 스트리밍되고 7천 건의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해 '글로벌 200' 차트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핑크 베놈'은 '글로벌'(미국 제외) 차트에서도 스트리밍 9천960만회, 다운로드 5천 건으로 2주 연속 차트 정상을 지켰다. '글로벌 200'과 '글로벌' 차트는 세계 200개 이상 지역의 스트리밍 및 음원 다운로드 횟수를 집계해 순위를 매긴다. '글로벌'(미국 제외) 차트의 경우 미국 내 스트리밍 횟수와 다운로드 건수는 제외한다. K팝 걸그룹이 '글로벌 200' 차트와 '글로벌' 차트에서 2주 연속 정상을 차지한 건 처음이다. '핑크 베놈'의 뮤직비디오 또한 공개 24시간 만에 유튜브 조회 수 9천40만뷰를 돌파하며 여성 아티스트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블랙핑크는 오는 16일 정규 2집 '본 핑크'(BORN PINK)를 발표한 뒤 다음 달 서울을 시작으로 북미,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를 도는 월드투어에 나선다.
인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가 미국에 이어 일본, 터키 등에서도 리메이크 제안을 받았다. '우영우' 제작사 에이스토리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국제방송영상마켓(BCWW) 2022' 행사에서 미국, 일본, 중국, 터키, 필리핀, 독일 등 전 세계 업체 수십 곳에서 리메이크를 비롯한 다양한 제안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에이스토리는 각국 제작사와 세부 사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며, 리메이크 제작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극 중 우영우에게 특별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등장하는 고래 CG(컴퓨터 그래픽)와 소외된 계층을 조명하는 각 에피소드의 메시지가 리메이크 작품에서도 일관성 있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상백 에이스토리 대표는 "'우영우'가 제시하는 긍정과 희망의 따뜻한 메시지는 전 세계에서 통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글로벌 리메이크 프로듀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우영우'의 감동과 재미가 세계 시청자들에게 의미 있게 전달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석 연휴를 사흘 앞둔 6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이 과일이 든 상자들로 가득 차 있다.
전 세계에 우리 소리를 알려온 국악인 안숙선(73) 명창이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안 명창을 '판소리(춘향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한다고 6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였던 고(故) 김순옥(예명 김소희·1917∼1995) 씨에게 춘향가를 배웠으며, 판소리 명창으로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판소리 전승에 힘써 왔다"고 설명했다. 전북 남원 출신의 안 명창은 소리의 길에 들어선 뒤 60여 년을 국악과 함께했다. 1957년 여덟 살의 나이에 국악을 시작한 그는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주역을 도맡았으며 1986년 판소리 5바탕(춘향가,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을 완창했다. 1997년에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였던 스승 박귀희(1921∼1993) 명창에 이어 보유자가 됐다. 창극 스타로 이름을 알리던 그는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성악과 교수,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등 굵직한 수장 자리를 맡기도 했다. 안 명창은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우리 전통문화 선양에 힘쓴 공로로 1998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문학훈장을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세계문화유산 화성(華城) 위로 파란 하늘이 펼쳐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