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철도 이용객이 작년의 60%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TX 이용객은 절반 이상 줄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코레일이 운영하는 14개 철도 노선 이용자는 6389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344만명)의 61.7%에 불과했다. 월별로는 1월 1153만에서 2월 671만명, 3월 528만명으로 갈수록 이용자수가 급감했다. 이어 4월 529만명, 5월 751만명, 6월 745만명, 7월 820만명으로 회복세를 보이다 8월과 9월 각각 755만명, 577만명으로 다시 줄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던 3월과 재확산 우려가 커진 8∼9월 철도이용객이 급감한 것이다. 차종별로는 KTX 이용객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올해 들어 9월까지 KTX 이용자는 4860만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51.8% 감소했다. 또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8.1, 38.9% 줄었다. 새마을호는 코로나19로 인해 2월 26일부터 관광전용 열차 운행을 전면 중단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최근 5년간 의료기관 과잉청구에 의한 진료비 환불금액이 10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급 의료기관일수록 환자에게 진료비를 과잉청구했다 환불한 금액이 많았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진료비 확인서비스를 통해 환자가 과다 지불한 진료비용을 환불받은 건수는 3만 8275건이고, 환불금액은 106억 509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환불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41억 2927만원으로 38.9%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이른바 빅5 병원의 환불금액은 13억 8015만원으로 전체 의료기관의 13%를 차지했다. 이어 종합병원 24억 2205만원(22.8%), 병원급 22억 5330만원(21.2%) 순이었다. 환불이유별로는 처지, 일반검사, CT, MRI, 의약품, 치료재료 등 급여대상 진료비가 59억 7489만원으로 전체의 56.3%를 차지했다. 이어 별도산정불가항목 비급여 처리 30억 5745만원(28.8%), 신의료기술 등 임의비급여 5억 4140만원(5.1%) 순이다. 서영석 의원은 "200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진료비확인서비스
21대 첫 국정감사가 중반으로 접어든 가운데 14일 국정감사에서는 국민연금공단의 대마초·성희롱 등 비위 사건, 소득주도성장 통계마사지 의혹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회는 이날 국민연금관리공단을 비롯해 통계청,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를 벌였다. 보건복지위의 국민연금관리공단 국감에서는 대마초 흡연 등 공단직원 등의 비위행위와 관련한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직원들의 대마초 흡입 사건 문제를 두고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국민 신뢰를 저버리는 일“ 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국민연금공단은 770조원의 기금을 운용하며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을 책임지는 기관이기 때문에 고도의 청렴성과 도덕성이 요구된다”며 “그러나 최근 직원들의 대마초 흡입, 각종 성 비위, 음주운전 등 국민 신뢰를 저버리는 비위 행위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기금운용직 직원 4명이 대마초를 흡입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것을 비롯해 공단 관련해 여러 비위 행위가 적발된 바 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에 따르면 금품수수, 음주운전, 사내 불륜, 성희롱, 욕설, 사내 갑질, 막말, 출장 시간 사적용무, 기밀정보 유출, 출장비 부정 수령 등
고속철도인 KTX와 무궁화호 등 일반철도의 에어컨 필터 교체 규정에 차이가 있어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평택갑, 국토교통위원회)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KTX고속철도는 운행 거리에 따라 에어컨 필터를 교체하는 규정이 있지만, 일반철도(무궁화 호)의 경우엔 관련 규정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KTX는 보통 2주마다 에어컨 필터를 교체하지만, 일반철도는 열흘에 한 번 정도 세척만 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일반철도 에어컨 필터 교체실적은 10% 내외 수준이며, 올해는 8월 말 기준 2.32%에 불과했다. KTX와 일반철도의 관리 규정 차이는 수많은 승객이 직접 앉는 시트의 특수청소와 교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KTX는 특수청소 연1회, 미적대수선(8년 전후 주기)에 따른 시트 교체 규정이 있다. 하지만 일반철도는 별도 규정이 없어 국회로부터 지적을 받은 뒤 2020년 3월 특수청소 연1회 규정을 개정하고, 2022년까지 계획을 세워 시트를 교체하고 있다. 홍 의원은 “시트 관리 규정 뿐만 아니라, 에어컨 필터의 경우에도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사이에 관리 규정 차이가 발생했다”며 “코로나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스포츠토토, 경륜·경정의 최근 5년간 미환급금이 52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당첨금을 찾아가지 않아 체육진흥기금으로 귀속된 금액이 스포츠토토는 448억6000만원, 경륜은 53억7000만원, 경정은 21억6000만원이었다. 스포츠토토 등의 시효소멸금은 2016년 942억원에서 2017년 1155억원으로 1000억원대로 진입한 후 2019년 1186억원을 기록하는 등 증가추세를 보였다. 경륜, 경정의 2020년 금액은 시효는 만료가 됐으나 경기가 열리지 않아 첫 경기가 열리는 날 체육진흥기금으로 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다. 미환급 시효소멸금은 운동경기 결과를 적중시켜 당첨금을 받아가거나 새로운 경기권으로 교환해야하는데 1년간 이를 찾아가거나 교환하지 않아 체육진흥기금으로 귀속된 금액을 말한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개별 투표권 용지에 환급 및 시효에 대해 명시하고, 스포츠토토의 경우 투표권 정보제공 언론사를 통해 시효 만료 관련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효소멸금이 증
정부가 한국판 뉴딜 지역 사업에 75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지역균형 뉴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지역균형 뉴딜은 한국판 뉴딜을 지역 기반으로 확장하는 개념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지역균형뉴딜은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지역사업과 지자체 주도형 뉴딜사업, 공공기관 선도형 뉴딜사업으로 나뉘는데, 한국판 뉴딜 지역사업에 투입되는 자금 규모는 75조 3000억원이 들어간다. 이 중 한국판 뉴딜 지역사업은 중앙정부 추진 프로젝트를 지역에서 구현하는 방식이다. 스마트시티 구축지원, 철도 안전시설·지하 공동구 스마트화, 지능형 재해관리시스템 구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린스마트 스쿨, 첨단 도로교통체계 구축, 공공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매칭 프로젝트도 포괄한다. 지역 균형 뉴딜사업의 두 번째 축인 지자체 주도형 뉴딜 사업은 지자체가 특성을 살려 스스로 발굴·추진하는 사업이다. 현재 광역지자체 11개, 기초 지자체 125개 등 총 136개 지자체가 지역 뉴딜을 구상·계획을 수
지난 5년간 부정행위로 수능시험이 무효처리된 수험생은 매년 평균 2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수능 부정행위 적발현황 및 조치내역’ 자료에 따르면 2016~2020학년도 수능시험 부정행위 적발 건수는 모두 1173건으로 해당 수험생들은 모두 시험이 무효가 됐다. 연도별로는 2016학년도 189건, 2017학년도 197건, 2018학년도 241건, 2019학년도 293건으로 계속 늘다가 2020학년도에 253명으로 다소 감소했다. 부정행위 유형별로는 한국사와 탐구영역 선택과목들을 함께 보는 4교시에 시간별 해당 과목이 아닌 다른 과목 문제지를 보는 경우 등 '4교시 응시방법 위반'이 522명(44.5%)으로 가장 많았다. 휴대폰 등 전자기기 소지가 401명(34.2%)으로 그다음이었고, 시험 종료 이후 답안을 작성했다가 적발된 수험생이 182명(15.5%)이었다. 배 의원은 "4교시 답안지 마킹 실수를 고백했다가 부정행위에 해당해 시험 전체가 무효가 되는 등 안타까운 사례들이 해마다 벌어진다"면서 "부정행위 기준에 대해 수험생들이 숙지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안내해야한다"고 말했다.
‘라임·옵티머스 사모펀드 정관계 로비 의혹이 21대 국회 국정감사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사모펀드 의혹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은 상임위별 국감으로 확산하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을 상대로 한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는 옵티머스 관련 금융감독원의 감독 부실 책임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사태에 청와대 인사가 관여돼 있어서 금융감독원의 감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고,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그런 영향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같은 당 강민국 의원도 "옵티머스 사태의 본질이 사전에 사기라는 걸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금감원이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채 동조 내지 방조를 했다는 게 드러나고 있다"며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등을 증인 신청했다. 이영 국민의힘 의원은 “언제든 환매해서 돈을 찾아갈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과 달리 개인투자자들은 한달에 한 번 밖에 환매 기회가 없다”며, “정보가 취약한 일반 국민들만 위기상황이 오면 피해를 고스란히 받는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유의동 의원은 윤석헌 원장을 향해 "이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옵티머스와 공범인가"라며, 옵티머
조달청이 운영하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의 물품가격이 시중 쇼핑몰보다 여전히 비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양주시)은 13일 "경기도가 시중보다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이 비싸다고 제시한 물품 90개의 가격을 재검증한 결과 시장 변동에도 불구하고 41개 물품이 여전히 비싼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해 6월 나라장터 판매물품 3341개 가격을 조사했고 이 중 41.7%인 1392개가 시중보다 비싸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조달청은 △제조사 다름(532건), △인도조건 상이(445건), △허위 및 미끼(160건) 등 10가지 사유에 따른 가격 차이로 나라장터 쇼핑몰이 절대 비싸지 않다고 반박했다. 경기도는 지난 7월 다시 6129개의 나라장터 물품 가격을 조사했고, 이 중 가격 비교가 가능한 총 646개 제품 중 13.9%인 90개 제품의 가격이 나라장터가 비싸다고 발표했다. 정성호 의원은 “경기도가 제시한 90개 물품의 가격을 9월 기준을 재검증했다”며 “90개 물품 중 75개 물품은 여전히 나라장터에서 거래되고 있었고, 이 중에서 41개 물품의 가격은 시중 가격보다 여전히 비쌌다”고 밝혔
최근 5년간 고속도로 낙하물은 약 127만 건 발생했지만 낙하물 신고 포상제로 신고가 접수된 건은 3년간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경기 이천시)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수거된 차량 낙하물은 총 126만6480건으로 집계됐다. 낙하물로 인한 사고도 217건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48건(부상 8명), 2016년 46건(부상 6명), 2017년 43건(부상 3명) 등이다. 2018년에는 사망사고 2건을 포함, 40건이 발생해 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2019년에는 40건이 발생했으나 부상자는 없었다. 사망사고 2건은 2018년 1월 25일 중부고속도로 호법분기점에서 1차로를 달리던 승용차에 판스프링이 날아들어 운전자가 숨진 사건과 같은 해 7월 13일 경부고속도로 칠곡물류IC 인근에서 앞서가던 화물차에서 떨어진 예비타이어를 밟은 후속 차량이 뒤집어지며 운전자가 숨진 사고다. 최근에도 지난 8일 평택대교 인근 43번 국도를 지나던 차량이 판스프링으로 추정되는 물체에 의해 앞 유리 윗부분이 뚫리는 사고를 당했다. 지난달 18일에는 중부고속도로 일죽IC 부근에서 미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