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자 태권도 경량급 기대주’ 진호준(수원특례시청)이 월드태권도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동메달의 아쉬움을 달랬다. ‘포스트 이대훈’으로 불리는 진호준은 지난 11일 중국 타이위안 샨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타이위안 2023 세계태권도연맹(WT) 월드태권도 그랑프리 3차 시리즈 남자 68㎏급 결승에서 술레이만 알레필립(프랑스)을 라운드 점수 2-0(10-6 7-6)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라운드를 10-6으로 승리한 진호준은 2라운드 초반 기습적인 몸통 공격을 허용하며 끌려갔지만 상대 선수의 빈틈을 뚫고 몸통 공격을 성공해 7-6으로 역전승을 거뒀다. 진호준은 이날 준결승에서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우즈베키스탄의 울루그벡 라시토프를 라운드 점수 2-0(8-6 4-2)으로 꺾는 등 최고의 기량을 펼쳤다. 진호준은 항저우 아시안게임 준결승에서 울루그벡에게 패해 아쉽게 결승 진출에 실패하며 동메달에 만족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설욕에 성공하며 아쉬움을 씻어냈다. 2002년생인 진호준은 한국 태권도의 차세대 에이스로 지난해 맨체스터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린 뒤 올해 5월 생애 처음 출전한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은
‘한국 남자 역도 중량급 간판’ 진윤성(고양시청)이 국제역도연맹(IWF) 그랑프리 1차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진윤성은 18일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대회 남자 109㎏급에 출전해 인상 165㎏, 용상 196㎏, 합계 361㎏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진윤성은 인상 1차 시기에 160㎏을 들은 데 이어 2차 시기에 165㎏을 성공시켜 후안 사나메 콜럼비(쿠바·160㎏)과 헤르난 모이세스 에스피노자 비에라(페루·145㎏)를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용상 1차 시기에 185㎏을 성공하고 2차 시기에 195㎏을 실패한 진윤성은 3차 시기에 196㎏을 들어올려 비에라(200㎏)에 이어 2위를 차지했지만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에서 361㎏으로 콜럼비(355㎏)와 비에라(345㎏)를 따돌리고 정상에 등극했다. 2024 파리 올림픽에서 102㎏급에 도전하는 진윤성은 이번 대회 109㎏에 출전했다. 이 체급은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어서 이번 대회에도 단 4명만 출전했다. 오는 9월 개막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역도 남자 109㎏급에 출전하는 진윤성은 이번 그랑프리 1차 대회에서 109㎏급에 출전해 아시안게임 모의고사를 치렀다. 무릎 부상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해 기록은
‘유도 샛별’ 이준환(21·용인대)이 올해 처음 열린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의정부 경민고 출신인 이준환은 29일 포르투갈 알마다에서 열린 국제유도연맹(IJF) 포르투갈 그랑프리 남자 81㎏급 결승에서 하즈예프 엘잔(아제르바이잔)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업어치기 절반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준환은 정규시간 4분 동안 일방적인 공격을 퍼부으며 1분 4초와 3분 32초에 각각 지도(반칙) 1개씩을 뺏았는 등 상대를 밀어붙였지만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연장전에 들어간 이준환은 지친 기색 없이 공격을 이어갔고, 연장 13초 만에 오른쪽 어깨로 상대를 업어쳐 절반을 따냈다. 이준환은 지난해 6월 울란바토르 그랜드슬램에서 2020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나가세 다카노리(일본), 동메달리스트 샤밀 보르하슈빌리(오스트리아)를 연거푸 꺾고 우승을 차지한 차세대 간판이다. 한편 이날 열린 남자 73㎏급에서는 강헌철(용인시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