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는 동절기를 맞아 한파 또는 폭설 등에 취약한 거리노숙인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보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동절기 노숙인 보호 대책을 수립해 시행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달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5개월 동안 정기순찰 등을 통해 현장 상담 및 지원활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해당 기간동안 노숙인종합지원센터에서 매일 3회 이상 정기순찰을 실시하고, 시·구 공무원 및 노숙인시설 종사자들로 구성된 합동상담반이 매주 구별 순찰과 월 1회 합동 순찰을 실시해 노숙인들에게 필요한 상담과 지원을 제공한다. 거리노숙인 순찰을 통해 시설입소 및 고시원 등 잠자리를 안내하고 이를 거부하는 경우 핫팩, 장갑, 모자, 양말 등 구호 물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노숙인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 필요한 경우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할 예정이다. 지난 6일과 9일에는 합동상담반 순찰에 성남시의회 문화복지체육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동절기 순찰에 동행해 거리노숙인 현장을 살폈다. 한편, 성남시는 노숙인종합지원센터를 365일 24시간 운영하며 거리노숙인에게 응급 잠자리를 제공하고 세탁·목욕 서비스 및 생필품 등을 지원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설렘을 주는 봄, 특히 올해 봄은 더 그렇다. 지난해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송두리째 사라진 봄을 2년 만에 만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숙인들에게는 올해 봄을 더욱 따뜻하고 특별하게 느껴진다. 그들은 수원역에서 노숙 생활을 하다가 수원시와 수원다시서기노숙인종합지원센터의 도움으로 자활하게 된 주인공이다. 매일 아침 수원시 장안구 한 동 행정복지센터가 주민들을 맞이하기 전에 곳곳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A(59)씨는 “포기하지 않고 조금만 더 노력하면 누구나 저처럼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힘들 텐데도 마스크에 가려진 얼굴에 미소를 지으며 청소하는 그는 2년 전까지 거리를 전전하던 ‘노숙인이었다. A씨는 고등학교 졸업 후 화물차를 운전하며 생활했지만 2015년 연쇄 부도가 발생하면서 불어난 빚은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됐다. 다시 일어서 보겠다는 의지마저 잃은 그는 자포자기하는 마음으로 살전 집과 차량을 처분하고 머물 곳 없이 지냈다. 그렇게 몇 년을 보낸 그는 2019년 3월 수원역으로 왔다. 무료 급식소에서 밥을 먹고 가끔 일하러 가서 번 돈으로 담배를 사서 피웠다. 다행히 술은 마시지 않았다. 사람이 없는 곳을 골라 잠을 청하려고 할 때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