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잔박물관은 기획상설전 ‘일상과 함께하다-풍속화에 담긴 전통 생활문화’를 한국등잔박물관에서 12월 13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시대와 근현대 풍속화를 통해 선조들의 생활 모습을 조명한다. 박물관 야외 공간에서는 투호, 제기차기, 비석치기 등 다양한 전통 놀이 체험이 함께 운영돼 관람객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전통문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기획전시실Ⅱ에는 같은 기간 동안 ‘등잔, 색다롭게 바라보기’가 열려, 등잔을 더욱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주제는 과거의 빛, 현재의 빛, 미래의 빛이다. 이에외도 온라인 전시 ‘전시 속 풍속화 이야기’가 박물관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열려 누구나 등잔에 대해 감상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일상, 음식 문화, 놀이 등을 주제로 한 주요 작품 22점을 감상할 수 있으며, 매주 한 점씩 작품이 업로드된다. 유튜브 채널에서는 ‘학예사와 함께하는 온라인 전시 투어’가 진행돼 학예사가 직접 전시 유물을 소개한다. 조선시대 일거리, 먹거리, 놀거리 3가지 주제로, 전시를 방문할 수 없는 관람객에도 선정 유물을 자세히 감상할 수 있다. 김상규 한국등잔박물관 관장은 "현재 진행 중인 ‘일상과 함께하다-풍속화에 담긴 전
한국등잔박물관은 12월 13일까지 풍속화를 통해 선조의 생활상과 민속공예품을 알리는 전시 ‘일상과 함께하다-풍속화에 담긴 전통 생활문화’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한국등잔박물관, 함께하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첫 번째 전시로, 풍속화에 담긴 옛사람들의 생활문화를 일거리, 먹거리, 놀거리로 분류해 다각적으로 알아보고 생활 민속품에 담긴 다양한 기능과 멋에 대해 조명하고자 기획됐다. 관람객들은 등기구를 비롯한 다양한 생활 민속품을 자유롭게 관람하고 QR코드를 활용해 전시 유물과 연관된 풍속화를 보며 선조들의 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일거리, 먹거리, 놀거리 테마로 나뉘어 진행한다. 첫 번째 테마인 일거리는 김홍도의 ‘논갈이’, 이서지의 ‘옹기가마’ 등을 통해 풍속화 속 선조들의 노동과 문화를 이해한다. 두 번째 테마인 먹거리에서는 김홍도의 ‘주막’과 이서지의 ‘출산’ 등을 통해 선조들의 음식문화와 생활 민속품들의 기능을 살펴본다. 세 번째 테마는 놀거리로 이서지의 ‘윷놀이’ 풍속화 등을 통해 전통 놀이의 종류와 놀이문화를 알아본다. 또 야외 전시 공간에 마련된 전통 놀이 체험을 통해 선조들의 생활과 문화를 경험하는
수원시립미술관은 2024 문화도시 수원 연계사업 ‘예술이 일상이 되는 순간’을 5월부터 9월까지 수원시립미술관 로비, 옥상 등에서 개최한다. ‘예술이 일상이 되는 순간’은 미술관의 문턱을 낮추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프로그램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뉘어 상반기에는 ‘시민을 위한 예술’, 하반기엔 ‘시민에 의한 예술’이라는 주제로 각각 운영된다. 5월부터 진행되는 상반기 프로그램‘시민을 위한 예술’은 ‘어디나 예술’이라는 세부 주제로 펼쳐진다. 미술관 옥상에 햇빛을 피하는 그늘막과 조명이 설치되고, 캠핑 의자와 돗자리가 마련돼 시민들이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된다. 또 약 250권의 어린이, 성인용 도서를 비치해 책 읽는 공간인 ‘미술관 위 도서관’과 월 2회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 낭독 프로그램 ‘이야기 미술관’이 진행된다. 어린이날을 맞아 5월 4일에 발달장애 예술단체인 JL 한꿈예술단의 중창단,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미술관 로비에서 개최된다. 어린이날인 5월 5일에는 텐저블 아트가 환경을 주제로 한 참여형 뮤지컬 ‘바람탐험대 하루와 푸푸’를 로비에서 공연한다. 5월 24일과 25일, 미술관 옥상
한국등잔박물관은 경기도와 용인시가 지원하는 ‘2023년도 박물관·미술관 지원 사업’의 일환인 ‘우리의 일상을 빛나게’ 사업이 마무리됐다고 26일 밝혔다. 상설 기획전 ‘등잔 시대를 비추다’, ‘우리의 빛나는 이야기’, ‘지역작가 조명전’에 총 6000여 명의 관람객이 전시를 찾았고, 관람객은 선조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다. ‘등잔 시대를 비추다’는 경기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소장품을 비롯한 등잔과 생활 공예품을 알아보는 전시다. ‘우리의 빛나는 이야기’는 ‘등잔, 시대를 비추다’후속 전시로, 교육에 참여한 관람객들은 교육 결과물을 통해 전시를 상기하고 서로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역작가 조명전’은 ‘빛’을 주제로 지역작가 5명의 예술작품을 한 자리에 모은 전시로, 손전등으로 작품을 비추며 감상하는 참여형 코너를 마련해 큰 호응을 얻었다. 또 한국등잔박물관은 총 다섯 종류의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알록달록 나를 찾아봐’에선 어린이와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경기도 지정 민속문화재인 조족등과 화촉을 직접 관람했다. ‘흙과 함께 놀아요’는 아동복지단체를 대상으로 지역 도예가가 진행한 교육으로, 도자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
한국만화박물관은 내달 23일까지 열리는 ‘일상한컷 인스타툰’ 전시에서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작가와의 만남은 오는 22일 ‘펀자이씨툰’의 엄유진 작가를 시작으로, 24일 콤마 작가, 29일 루나파크 홍인혜, 31일 뜬금, 4월 5일 그림비 작가 순으로 진행된다. 전시 참여 작가 5인은 창작과정 등 작품 이야기를 관객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펀자이씨툰 엄유진 작가는 영국 유학시절 만난 남편과 가족들의 일상을 웹툰으로 담아냈다. 또 건축가이자 만화가로 활동 중인 콤마 작가는 건축가의 일상과 유학생 시절 고군분투를 그렸고, 루나파크 홍인혜 작가는 카피라이터이자 만화가이자 시인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일상을 보여 준다. 작가 뜬금은 소박한 일상을 색연필로 그려내 아날로그 감성 팬층을 확보했고, 그림비(배성태)는 달콤한 신혼부부의 행복을 담은 일상을 그려 팔로우 50만 명을 보유한 인기 작가다. 일상을 만화로 담아내며, 수많은 독자들과 공감해온 작가들을 만날 수 있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는 각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유료로 진행되며 한국만화박물관 누리집에서 선착순으로 접수할 수 있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부천시민으로 살아가는 이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책이 출간됐다. 부천문화재단(대표이사 김정환)은 시민의 삶과 감정을 담은 ‘도시다감 : 청년 감정사전’, ‘도시다감 : 이주민 감정사전’과 ‘도토리(도시스토리)’ 등 3권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해당 도서들에는 시민 직접 쓴 이야기 총 1351편을 소재로 제작됐다. 먼저 ‘도시다감’(都市多感)은 도시의 다양한 감성이라는 뜻으로, 문화도시를 살아가는 시민 일상을 소재로 한 감성 글귀를 모아 한 편의 도시문학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를 담았다. 부천 청년과 이주민 총 96명이 저자로 참여했다. ‘청년 감정사전’은 부천시 만 19~39세의 대학생, 직장인 등 청년 78명이 표현한 ‘기특하다’, ‘낭만적이다’, ‘막막하다’ 등 76개 감정 단어와 113가지 감정 글귀가 수록됐다. 가장 많이 등장한 감정 단어는 ‘행복’으로 가까운 곳에서 행복을 찾고자 하는 청년들의 소망을 엿볼 수 있다. 또 ‘이주민 감정사전’은 7개국 부천 이주민 여성 18명이 묘사한 ‘그립다’, ‘슬프다’, ‘존중하다’ 등 38개 감정단어와 57가지 글귀가 실렸다. 특히, ‘감사하다’라는 감정이 가장 많이 등장했으며 타향에서 엄마로 살아가는
수원 삼일상고가 제77회 전국남녀종별농구선수권대회에서 13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삼일상고는 29일 전남 영광스포티움 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대회 8일째 남자고등부 결승전에서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서울 용산고를 82-80, 2점 차로 힘겹게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지난 해 이 대회에서 용산고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던 아쉬움을 설욕한 삼일상고는 이로써 2009년 대회 우승을 차지한 이후 13년 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삼일상고는 1쿼터에 이주영이 혼자 11점을 올리는 활약을 펼치며 8점을 올린 윤기찬을 앞세워 추격에 나선 용산고에 22-19로 기선을 잡았다. 2쿼터들어 이주영, 고찬유의 외곽포에 강지훈의 골밑공격이 가세한 삼일상고는 김승우, 김윤성을 앞세워 반격에 나선 용산고와의 격차를 더 벌리며 전반을 43-33, 10점 차로 앞선 채 마쳤다. 그러나 삼일상고는 3쿼터들어 주포 이주영과 센터 강지훈의 골밑 득점이 주춤하는 사이 김승우, 윤기찬 쌍포를 앞세운 용산고에 55-48, 7점 차로 추격을 허용했다. 4쿼터에도 용산고의 강한 압박수비에 공격이 막힌 삼일상고는 윤기찬에게만 10점을 내주는 등 쿼터 중반 58-60으로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시소게
수원 삼일상고가 제77회 전국남녀종별농구선수권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이윤환 감독이 이끄는 삼일상고는 28일 오후 전남 영광군 영광스포티움 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대회 7일차 남자고등부 준결승전에서 울산 무룡고를 만나 79-67로 승리했다. 이날 경기에서 삼일상고는 주포인 이주영(25점)을 비롯해 강지훈(16점), 고찬유(15점), 마승재(10점) 등 주전들이 고른 활약을 펼쳤다. 1쿼터에서 21-20, 근소한 우위로 앞서가던 삼일상고는 2쿼터부터 점수 차를 벌리기 시작했다. 이주영은 2쿼터에만 3점슛 2개를 포함해 10점을 쏟아 부어 팀에 리드를 안겼다. 삼일상고는 전반을 45-29, 16점차로 앞선 채 마무리했다. 3쿼터까지 66-45, 21점차로 경기를 이끌던 삼일상고는 4쿼터 무룡고의 맹추격을 견뎌냈다. 상대 이도윤이 골밑에서 우위를 보이며 13득점으로 분전한 가운데 경기 종료 2분여를 남겨두고는 한 자릿수인 9점차까지 추격을 허용했다. 하지만 삼일상고는 마지막 공격에서 강지훈이 골밑슛을 성공시키며 파울까지 얻어내는 등 3득점에 성공해 승리를 확정지었다. 한편 결승에 오른 삼일상고는 같은 날 열린 4강에서 서울 경복고를 77-66으로 제압한 용산고와 오는
수원 삼일상고와 수원여고가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농구 남녀고등부 경기도대표로 각각 선발됐다. 삼일상고는 지난 15일 수원여고 체육관에서 열린 농구 남고부 경기도대표 선발대회에서 성남 낙생고를 115-72, 43점차로 제압했다. 1쿼터를 35-13으로 앞선 삼일상고는 전반을 61-26, 35점차로 격차를 크게 벌리며 경기를 리드했다. 3쿼터까지 87-43으로 앞서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은 삼일상고는 4쿼터에서 29득점으로 분전한 낙생고의 추격을 뿌리치고 최종 승리를 거머쥐었다. 삼일상고는 이주영(24점)과 고찬유(22점)가 20득점 이상을 올리며 팀 승리를 견인했고, 김현빈(19점), 박창희(15점), 강지훈(13점)도 맹활약했다. 한편 지난 14일 안양 평촌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여고부 경기도대표 선발전에서는 수원여고가 성남 분당경영고를 78-47로 물리치고 전국체전에 나서게 됐다. 수원여고는 이두나(23점), 김민아(19점), 방소윤(18점)의 득점포를 앞세워 대승을 거뒀다. [ 경기신문 = 김세영 기자 ]
위드 코로나가 시행된 지 한 달여 만에 음주운전·방역위반, 집회 신고 등이 모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7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25일까지 시행된 음주운전 특별단속에서 총 9312건 이 적발, 하루 평균 372.5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면허 취소 수준은 6771건, 정지 수준은 2541건이다. 휴가철인 지난 7월과 8월 각각 기록한 9974건(일평균 322건), 9507건(일평균 307건)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경찰은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연말연시 술자리 증가를 원인으로 보고 내년 1월까지 음주운전 집중단속을 진행, 유흥가 및 식당가 등을 중심으로 음주운전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전방위 단속에 들어갔다. 유흥시설 단속이 경우 1만 1858곳을 점검해 감염예방법 위반 등으로 102건 531명이 적발됐다. 집회 신고 역시 위드 코로나 시행 후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후 전국에 접수된 집회 신고는 총 1만 3669건으로, 지난달 8490건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일평균 547건으로 지난달 하루 평균 신고 건수인 274건보다 99.6% 상승했다. 이런 상황 속 28일 0시 기준 경기도 내 코로나19 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