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박래헌)이 ‘제57회 수원화성문화제’ 취소 소식을 전하며 아쉽지만 도약하는 시간을 통해 내실있는 내년을 기약하자고 전했다. 수원문화재단은 4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수원시와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 수원문화재단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제57회 수원화성문화제’를 시민과 관람객의 안전을 위해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제57회 수원화성문화제’는 당초 오는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화성행궁, 연무대, 수원천 등 수원화성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재단은 올해 수원화성문화제의 주제는 ‘쉼 드림(Dream), 꿈 드림(Dream)’으로 과거 정조대왕이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쉼을 드리고, 백성들에게 꿈을 줬듯이 코로나19로 단절된 일상에 지친 시민들에게 쉼과 꿈을 줄 수 있는 위로의 시간을 기획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등 감염의 위험도가 쉽게 회복되기 어렵고, 엄중하다는 판단 끝에 결국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수원화성문화제와 함께 개최했던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은 내년 4월 24~25일로 연기됐다. 박래헌 수원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올해 축제는 취소
 
								
				수원시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극단 연희광대(대표 박홍진)가 온라인 낭독극 ‘장끼전, 아니 까투리전’을 통해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시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한다. 지난 7일 오후 수원 팔달구 미리내 은하수홀에서는 배우 곽정환과 안현석, 한나, 유현주, 최근혁이 각 역할을 맡아 ‘장끼전, 아니 까투리전’을 낭독했다. ‘장끼전’은 꿩을 의인화한 우화소설로 남존여비와 여성의 개가 금지라는 남성 중심의 유교 윤리를 풍자한 판소리계 소설이다. 그러나 연희광대가 준비한 이번 공연은 장끼보다 역할 비중이 큰 까투리에 집중해 ‘장끼전, 아니 까투리전’으로 변화를 모색했다. 단원 최근혁의 해설로 시작한 ‘장끼전’은 눈길에 떨어진 콩 한알을 먹겠다고 큰소리치는 장끼와 인간이 놓은 덫일지도 모르니 먹지 말라고 극구 말리는 아내 까투리의 대화 내용이었다. 장끼 역의 곽정환과 까투리 역의 한나는 단호하고 때론 애절한 표정과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열연을 펼쳤고, 유현주와 안현석도 각각 장단과 고수를 비롯한 다양한 역으로 분해 극의 재미를 더했다. 온라인 낭독극인 만큼 관객들이 공연장을 직접 찾지 못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카메라에 담긴 배우들의 생생한 표정이 담긴 연기는 오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