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책을 펼치면 그림들이 튀어나오고 비밀 상자를 열면 숨겨진 캐릭터들이 나온다. 긴 종이 위로 작가들이 사용했던 무늬 도장을 찍어보며 그림책을 완성할 수도 있다. 판교 현대어린이책미술관에서 ‘예술’과 ‘책’을 접목한 전시 ‘MOKA 북아트 컬렉션’이 진행중이다. 2015년부터 ‘책의 형태’와 ‘예술성’이라는 키워드 안에서 국내외 작가들의 ‘북아트’ 작품들을 수집해온 미술관이 처음으로 선보이는 소장품 전시다. 안젤라 로렌즈, 로빈 아미 실버버그, 제니 콜 등 19명 작가의 작품 50여 점을 선보인다. 책과 예술이 접목된 북아트 전시인만큼, 책의 외연을 확장시킨 다양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기존 글과 그림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책부터 작가의 아이디어가 표현되는 아티스트북, 책의 형태가 도자기인 조각, 책을 만드는 과정의 퍼포먼스까지 다양하다. 전시는 ‘숨겨진 이야기’, ‘이상한 물체’, ‘펼쳐지는 공간’, ‘딴짓 실험실’이라는 4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첫 번 째 섹션 ‘숨겨진 이야기’에는 작가가 말하는 이야기를 은밀한 방식으로 읽어야 하는 작품들이 전시된다. 브라이언 키링의 ‘공유된 환상’은 그림책을 유리 돔 안에 넣어 크랭크를 돌리며 감상할 수 있다. 유리 돔
우리가 볼 수 있는 그림책은 작가의 구상과 아이디어, 원화와 회의를 거쳐 완성된다. 작가가 한 권의 그림책을 완성하기까지의 수많은 과정은 결과물이 되어 나타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MOKA)에서 이런 완성되지 않은 그림책들을 발굴하고 조명하는 전시 ‘언-프린티드 아이디어’가 열리고 있다. 작품 원화, 작업 과정, 더미북을 전시하고 작품과 연계된 활동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직접 그림책을 투표하는 자리다. 전시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한 두 작품이 독립출판의 기회를 얻는다. 올해로 4회 째를 맞는 이번 전시에서는 ‘친구’, ‘자연과 사람’, ‘글이 없는 그림책’을 주제로 일곱 작가의 그림책을 소개한다. 신소라 작가는 ‘친구’를 주제로 일상을 기록했다. 미래에 대한 고민을 ‘미래의 나’에게 편지를 쓰듯 일기장에 적었다. ‘미래의 나’로부터 아무 답장을 받을 수 없었지만, 주인공은 ‘미래의 나’와 함께 성장하며 실패와 방황에 대한 위로를 받았다. 어릴 적 일기장을 토대로 10여 년 전 첫 더미북을 작업했고, 강렬하고 거친 느낌의 채색과 콜라주를 사용해 스토리보드를 다듬었다. 수채화, 선화, 과슈 물감을 이용한 전개가 주인공의 성장
판교 현대어린이책미술관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가 열리고 있다. 전시 ‘곰곰이와 찬찬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사물들 속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부분을 작품으로 만든다. 함진, 이경미, 차민영, 김영섭, 강보라 5명 작가들의 작품이 체험과 함께 전시된다. 함진 작가는 ‘조그맣다’를 키워드로 작품을 만든다. 점토를 이용해 미세한 조형물을 만들고, 관객은 돋보기를 통해 이를 들여다본다. 자세히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만두피처럼 얇은 반죽을 붙인 뒤 손으로 늘려 즉흥적인 작품을 만드는 창작 방식이 새롭다. 이경미 작가는 ‘좁다랗다’를 키워드로 자신의 유학 경험을 풀어낸다. 미국과 독일에서 유학한 이 작가는 자신이 머물고 싶은 곳이 외국인지 한국인지 고민하며 두 건물의 접점을 새롭게 제시한다. 관객은 망원경을 통해 접점을 살펴보며 작가의 생각을 따라가 본다. 차민영 작가 역시 ‘좁다랗다’를 키워드로 작품을 만들었는데, 카메라 줌으로 기억하고 싶은 특정 부분을 확대해 공간으로 만들었다. 여행을 좋아한 작가는 여행 가방 안에 작은 공간을 만들어 여행의 설렘을 기억했다. 관객들은 여행 가방 안에 들어가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 ‘좁다란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