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와 한국교통연구원이 주최한 ‘고양시 경량전철 건설사업 계획 초안’에 대한 공청회와 관련 고양예산감시네트워크(시민단체)가 사업추진에 앞서 주민들의 의견부터 수렴할 것을 촉구했다.
이 단체는 지난 3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난 달 27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킨텍스에서 열린 경전철 사업 추진공청회가 경전철 사업의 타당성 및 필요성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개적인 자리였는데도 시가 노선결정위주로 발표했다”며 “이 때문에 마치 경전철 사업의 필요성과 경제적 타당성은 이미 결정된 전문가나 정치인들의 영역이고, 주민들은 노선만 결정하라는 들러리 공청회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또 주민들의 항의가 많았지만 시는 이번 공청회 계획은 초안이라며 앞으로 주민의견 수렴을 거쳐서 계획이 변경될 수 있는 것처럼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시는 고양경량전철건설계획 중간발표회에서 나온 문제점에 대해 전혀 반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3월말에 노선을 확정한다는 최종계획을 갖고 있다며, 이날 토론자들이 하나같이 경전철 사업을 기정사실로 인정한 공청회였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이어 공청회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한 한국교통연구원의 발표자가 킨텍스와 한류우드사업을 중심으로 한 관광사업 활성화 측면이 핵심이라고 이야기 했다며 이것은 고양시가 교통난을 핑계로 킨텍스, 한류우드 사업활성화를 위해서 경전철을 도입한 것이라는 세간의 의혹을 입증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따라서 시가 진정한 교통문제를 해결하려한다면 식사지구와 풍동지구 뿐만 아니라 고질적인 교통난을 겪고 있는 중산·탄현지구의 교통대책이 포한된 사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또 경전철 사업은 혜택도 고양시민이 누리는 것이고 적자가 발생했을 때도 그 부담은 고양시민의 몫인데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노선만 결정하라는 식의 사업추진은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시민들의 공감을 얻는 작업부터 다시 시작하고 이번 달 최종계획 발표를 중단, 관련 자료를 보완, 공개하고 주민들의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