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계층 대책마련 시급” (열린우리 이기우 의원)
“심사숙고 국회동의 결정” (열린우리 송영길 의원)
“불공정 협정 국민이 부결” (무소속 임종인 의원)
“경제주권·민생포기 협상” (민생정치모임 천정배 의원)
“車·쇠고기 관세철폐 졸속” (한나라 이규택 의원)
“국익 반하는 FTA 수용못해” (한나라 정병국 의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2일 낮 극적으로 타결된 것과 관련, 정치권은 정치적 입장에 따라 극명한 ‘입장차’를 드러낸 가운데 경인 지역 일부 의원들도 정치적 노선이나 혹은 지역구 사정에 따라 각기 ‘평가’를 달리했다.
우리당 이기우 의원(수원 권선)은 “정부는 국민이 궁금해 하는 협상 내용과 과정을 빠른 시일내에 공개해 국민과 정치권의 검증을 받는 일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면서 “아울러 한미 FTA 체결로 인한 피해계층 대책마련도 필요하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같은당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을)은 “‘올 오어 낫싱’(all or nothing)이 아니라 상호간 이해를 맞추는 것이므로 내용을 찬찬히 분석, 평가한 뒤 국회 비준동의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다만 협상진행 과정에서 제기된 ‘졸속 비판’에 대해서도 분명히 짚고 넘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민생정치모임을 이끌고 있는 천정배 의원(안산 단원갑)은 “참여정부가 4·2 조공협상으로 경제주권을 넘겨주고 민생을 포기했다”고 비난하고 “국익과 민생,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배반한 밀약의 책임자는 역사와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고 범국민적 항쟁을 통해 4.2 조공협상을 무효화시킬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또 FTA반대 단식을 벌이고 있는 무소속 임종인 의원(안산 상록을)은 “민생파탄을 가져올 한미자유무역협정을반드시 국민이 부결시켜야 한다”며 “미국자본의 이익을 위해 국민생활의 주권행사를 결코 팽개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농촌이 지역구인 한나라당 이규택 의원(이천·여주)은 “한미 FTA 협상이 처음 시작에서부터 우려했던 졸속 FTA의 문제점들이 현실로 나타났다”면서 “쇠고기 등 농업부문의 문제, 자동차 대미관세 철폐 문제, 개성공단원산지 문제, 유리했던 섬유 의류분야의 쥐꼬리 실익 문제, 로열티만 늘어날 미국의 저작권, 특허권 연장 문제, 신약문제 등 결코 어느 것 하나 고무신 엿 바꿔먹는 것처럼 소홀히 타결해서는 안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같은 당 정병국 의원(양평·가평)은 “국익에 반하는 FTA 체결은 원칙적으로 안된다”면서도 “알려진 바로는 양국의 협정문도 몇 달 후에 공개될 것으로 아는데, 그 내용을 상세히 살펴본 후에 판단을 할 것”이라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