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FTA(자유무역협정) 협상 타결로 한미동맹이 한층 강화되는 등 한반도 주변여건이 크게 변화됐다고 판단하고 ‘2.13 합의’ 이행을 위한 6자회담의 동력강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새로운 한반도 정세 구축 작업에 주력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4일 알려졌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한과 미국, 중국간 방코델타아시아(BDA)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6자회담을 재개한 뒤 2.13 합의의 초기단계조치인 북한 핵시설 폐쇄를 위한 실무적 절차에 착수하는 한편 6개국 외무장관 회담도 4월말 또는 5월초에 개최하는 방안을 관련국들과 추진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또 6자 외무장관 회담 성사 이후 가급적 상반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열어 북핵 2.13 합의 이행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에 대한 전향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양국 정상의 의지를 천명하며, 궁극적으로 한미 정상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참여하는 3자 또는, 중국을 포함하는 남·북·미·중 4자 정상회담 개최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한미 FTA, 북핵문제 등 한미 양국의 주요 현안이 마무리되고 정리되는 대로 양 정상이 만나 양국 관계의 미래 비전 등을 공유하는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데 양국 고위급 외교 채널간에는의견이 모아진 상태”라며 “다만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양국 외교채널이 한미정상회담 개최 장소와 일정에 대한 구체적 협의에 착수하지 않았으나 6월 개최 가능성도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한미 FTA 타결을 계기로 한미정상회담 일정 등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착수하고 조만간 미국측과 공식 조율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대변인인 윤승용 홍보수석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양국 외교 고위급은 다자회담 회의 때와는 별도의 양자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고 이에 입각해 한미관계가 조율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