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3명 중 2명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2명 중 1명 꼴로 현 정부내에 비준동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열린우리당 정장선(평택을) 의원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 지난 4일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밝힌 ‘경제상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미 FTA에 대해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는 응답이 67%로 ‘부정적’(32%)이라는 답변을 두 배 이상 상회했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사람들은 그 이유로 ‘농업 등 피해산업 대책 부족’(38.9%), ‘빈부격차 등 양극화 심화’(21.1%), ‘사회의 공공성 약화’(19.6%), ‘대미의존도 심화 등 경제종속화 우려’(17.2%)를 꼽았다.
한중, 한일 FTA에 대한 찬성여론도 각각 57.6%, 56.6%로 절반을 넘었다.
한미 FTA에 대한 국회 비준 동의 시기와 관련, ‘농업 등 취약산업, 취약계층 보호대책을 수립한 후 현정부내에’가 45.7%로 절반에 가까웠고, ‘가급적 빨리’도 21.2%였다.
반면 ‘국민 합의를 거쳐 다음 국회에서’는 20.0%였으며 ‘국민 동의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거부해야 한다’는 응답은 12.1% 수준이었다.
또 응답자의 66.6%는 현 경제상황이 위기라고 답했으며, 그 원인으로 ‘국회 등 정치권의 리더십 부족’(53.2%), ‘참여정부의 경제정책 실패’(44.3%) 등을 들었다.
정부와 정치권 리더십에 대한 신뢰도 역시 각각 26.5%, 11.7%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